코로나19로 아이들이 학교에 가지 못하면서 또 한번 ‘돌봄 공백’, ‘돌봄 위기’라는 말이 인구에 회자되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입을 모아 “우리 사회에서 돌봄이 위기가 아니었던 적은 한 번도 없다”고 말한다. 사회는 책임이 없다는 듯 여성에게, 가족에게 전적으로 내맡겨져 있었던 탓이다. 돌봄을 ‘비상 상황에서 공동체를 유지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필수노동’으로 부르고 돌봄 종사자의 노고에 감사하는 것만으로는 이 오래된 위기를 넘어설 수 없다. 비상 상황이든 아니든, 아프든 그렇지 않든, 장애가 있든 없든, 나이가 많든 적든, 우리 모두에게 돌봄이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정해야 한다.
바야흐로 돌봄의 중요성이 말해지고 있는 지금도 여전히 돌봄은 ‘나 아닌 돌봄 노동자가 하는 일’로 여겨지곤 한다. 《우리는 모두 돌보는 사람입니다》는 바로 이 지점에서 이야기를 시작한다. 돌보는 사람들의 이야기는 돌봄을 받는 사람들의 이야기와 마찬가지로 저평가되어 충분히 조명받지 못해왔고, 그 결과 우리 사회에는 돌봄과 돌보는 삶에 대한 기초 지식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지식의 빈자리는 가엾게 여기거나 천사라며 칭송하거나 사회복지 예산을 축내는 사람으로 취급하며 존재를 납작하게 만드는 말들이 채워왔다. 저자 페니 윈서는 돌봄을 점점 더 테두리 바깥으로 몰아내는 차별 너머 돌봄의 실재를 보여주기 위해 오랜 시간 입속에 감춰왔던 이야기를 꺼내 보이기로 했다.
우울증을 앓던 엄마를 잃었다
더 이상 엄마를 돌보지 않아도 된다는 뜻이었다
그리고 13년 후, 나는 자폐인 아들과 비장애인 딸의 엄마가 되었다
어린 시절 우울증을 앓는 엄마를 돌봐야 했던 저자 페니 윈서는 스물두 살이 되던 해에 자살로 엄마를 잃었다. 물론 충격적이었고 비통했지만 마음속 한구석에서 내심 참아왔던 숨을 내쉬는 자신을 발견했다. 그리고 13년 후, 큰아들 아서가 자폐 진단을 받았을 때, 엄마와 함께 관 속에 묻어두었던 복잡한 감정들이 한꺼번에 몰아닥쳤다. 사랑하는 사람을 돌보는 일을 그토록 힘들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