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머리말
1.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백제 유적
● 백제 유적은 무엇으로 기록되나?
● 660년 백제역사
●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등록 백제 유적 8곳
● 황산전투 유적
● 백제 패망 전후 반역의 행태
2. 백제 유적 천왕산성(청동리산성과 여수고개토성을 알아야한다
● 천왕산성(청동리산성과 여수고개토성
3. 연산 천왕산성(청동리산성 주변 지명유래
4. 계백3영에 관한 현장과 질문
● 성주탁 교수의 3영 견해에 관한 시뮬레이션
● 지헌영 교수의 3영에 관한 시뮬레이션
● 이명현의 천왕산성(청동리산성의 지형지세에 관하여
5. 계백과 관창의 전투 전적지 천왕산성(청동리산성의 확장 정밀조사
● 천왕산성(청동리산성의 확장 정밀조사를 건의함
● 충남대 학술총서 『논산황산벌전적지』 2000, 124쪽을 보면
● 천왕산성(청동리산성을 장수골을 품은 대규모 포곡형 산성으로 보는 근거
● 천왕산성(청동리산성 답사 순서
6. 황산전투와 천왕산성(청동리산성
7. 천왕산성으로 명명 되기를 건의함
8. 계백장군과 관창의 전투 전사지점
● 위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는 것은
9. 계백장군과 관창의 전투전사지점과 우물
10. 연산 신양리의 황산전투 유적지 조성의 재검토를 건의함
11. 황산지원, 황산지야의 해석에 대하여
● 황산전투와 관련된 기록을 살펴보면
12. 황룡재의 3도 진군과 설영 견해에 대하여
● 연산 개태사협곡 지형
13. 3일간의 황산전투와 백제군 4회 승전에 대하여
14. 부적면 충곡리 계백장군묘의 문제점
● 천왕산성(청동리산성은 3충신이 잠들어 있는 성지
15. 천왕산성(청동리산성의 보존 실태
16. 역사의 현장 천왕산성(청동리산성 장수골을 관통하는 도로의 폐쇄 복원
● 황산벌 전적지 정비 보존방안
17. 황산 전투유적의 세계문화유산 추가등록
18. 현장자료 사진 설명
19. 「계백장군 최후 결전지의 고찰」 (논문1 2018. 2
책속에서
성충과 흥수가 진언한 백제의 신라 방어요충지 탄현(炭峴 수비기회가 무산된 것은 김유신과 내응(內應한 백제 좌평 임자와 충상, 상영의 반역과 관련된다. 백제는 뒤늦게 황산(黃山에 방어진을 펼 수밖에 없었다.
탄현과 황산으로 진격한 탄현로는 대전 식장산설, 금산설, 운주설 등이 있다. 기존학설은 문헌의 백제 부흥군이 신라에서 부여, 공주의 당군(唐軍에게 전해지는 군량 수송로(糧道인 진현성(흑석동산성을 차단하자 기아의 곤경에 처하였다는 기록과 신라 50,000 대군이 진군할 때 대규모 수레의 이동이 가능한 지형이었는지의 검토가 미진하였다. 학계의 기존 현장조사 자료는 금산이나 운주 탄현로는 지형상 대규모 수레의 이동이 불가한 지역임이 밝혀졌다. 따라서 신라군이 진군한 탄현로는 대전 식장산 탄현과 웅진도(熊津道가 맞는다고 본다.
문헌의 해석도 문제로 제기된다. 황산전투 지역으로 기록된 황산(黃山, 황산지원(黃山之原, 황산지야(黃山之野를 벌판만으로 해석한 것은 단순한 문리해석(文理解釋으로 인한 오류(誤謬이므로 계백장군이 험준한 세 곳에 포진하였다는 문헌기록대로 계백삼영(階伯三營을 포함한 황산 일대의 의미로 재해석(再解釋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