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 ‘과학을 쿠키처럼’이란? | 8 1부 물체는 왜 움직이는 걸까? _클래식 역학 이야기 1. 물체는 ‘무엇’ 때문에 움직이는 걸까? | 14 2. 하늘의 별들은 어떻게 움직이는 걸까? | 25 3. ‘힘’이라는 개념을 언제부터 사용하게 된 걸까? | 39 4. 뉴턴 이후의 물리학, 더욱 세련되게 발전하다 | 53 부록│대체 빛의 속도를 어떻게 알아냈을까? | 64 2부 마법의 돌, 인류에게 진짜 마법을 선물하다 _전자기학 이야기 1. 호박과 자철석 마법이 새로운 과학을 열다 | 76 2. 움직이는 전기, 놀라운 기적을 만들어내다 | 87 3. 꽤 어렵지만 살짝 맛보기는 가능할 걸? 맥스웰 방정식 | 98 4. 전자기학의 끝에서 새로운 역학 세계를 열다 | 113 5. 클래식 역학과 전자기학, 그 끝에 아인슈타인이 있다 | 124 부록│우리는 어떻게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걸까? | 140 3부 아주 작은 세계의 움직임을 탐구하다 _양자역학 이야기 1. 대체 물질의 근원은 무엇일까? | 152 2. 빛은 입자일까, 파동일까? | 162 3. 양자역학이란 무엇일까? | 179 4. 솔베이 전쟁, 그리고 슈뢰딩거 고양이 | 197 부록│〈앤트맨과 와스프〉에 숨어 있는 양자역학이 궁금하다면…… | 216 4부 온도로부터 밝혀진 우주의 법칙을 찾아서 _열역학 이야기 0. 에너지란 무엇일까? | 224 1. 에너지는 결국 사라지는 걸까? | 234 2. 공든 탑을 무너뜨리고 싶은 게 자연의 본성이라고? | 242 부록│그래서 증기기관은 어떻게 움직이는 건데? | 255 5부 과학의, 과학에 의한, 과학을 위한 과학 _기본 단위계 이야기 1. 단위 체계는 언제부터 만들어졌을까? | 268 2. SI 기본 단위들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 | 277 3. 기본 상수를 이용해 네 개의 단위가 새롭게 정의되다 | 289 부록│키블 저울은 어떻게 kg을 새로 정의할 수 있었을까? | 305 나가며 | 하늘은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 걸까? | 313
청소년에서 어른까지,
호기심을 자극하는 달콤한 과학 상식!
유튜브 크리에이터 ‘과학쿠키’가 보내는 ‘물리학’으로의 초대장
국내의 대표적인 과학 유튜버인 ‘과학쿠키’의 물리학 개괄서. 이 세상을 움직여 온 물리학사의 커다란 흐름을 들여다보면서, 수업에서 배워온 물리학 개념들이 어떻게 탄생했는지 알아보고 이를 통해 과학의 진정한 재미를 발견하도록 도와준다. 물체가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연구하다가 나아가 운동의 본질까지 설명하는 학문인 ‘클래식 역학’, 현대 전기 문명의 발판을 만들어준 ‘전자기학’, 열기관의 연구로 출발해 예상치 못하게 우리가 사는 우주와 세계의 법칙을 들여다볼 수 있도록 도와준 ‘열역학’, 첨단과학과 우주과학을 깊이 이해할 수 있게 해준 20세기 최대의 업적 ‘양자역학’의 역사 이야기까지, 교과서에서는 볼 수 없었던 공식 너머에 있는 수많은 과학자의 열정과 노력, 즐거움과 감동이 담긴 이야기를 접하다 보면 어느새 과학과 한층 가까워진 자신을 만나게 될 것이다.
딱딱하고 어렵게만 보이는 과학을
간식을 즐기듯 유쾌한 과학으로 바꾸다
‘유튜브’는 새로운 시대의 미디어로서 막대한 영향력을 지닌 플랫폼이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누구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관한 다양한 지식을 유튜브를 통해 소비하고 있다. 하지만 여타 분야에 비해 ‘과학’을 다루는 크리에이터는 두 손으로 꼽을 수 있을 만큼 많지 않다. 그만큼 ‘과학’이라는 콘텐츠에 대해 거부감, 거리감, 일상에서 즐길 수 없는 대상으로서의 이질감 등의 이미지로 떠올리기 때문이다. 일반인들이 과학을 바라보는 시선은 대체로 부정적인 편이다.
과학이라 하면 무조건 공식을 외워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 수많은 초·중·고등학교 학생들, 일상에서는 쓸모없는 지식이라고 생각하는 성인들에게 과학은 ‘가까이 다가가기 어려운 것’으로 여겨져 왔다. 특히, 물리학의 경우는 더욱 그렇다. 흔히 물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