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펴내며
1장 미·중 무역전쟁과 한국의 대응
1. 미·중 무역전쟁 전망과 한국에 미칠 영향/ 2. 차이나 리스크의 원인과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 3. 한국경제의 대응
2장 중국의 패권 도전과 <일대일로> 전략
1. 중국의 목표와 도전/ 2. <일대일로>의 태동 배경과 기본 이념/ 3. 중국의 패권주의 성향과 <일대일로>에 대한 경계/ 4. <일대일로> 사업 지속성 제고를 위한 제안/ 5. 한국의 <일대일로> 참여시 위협요인 검토
3장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 협력의 기회와 위협
1. 한반도 비핵화 프로세스와 동북아 정세/ 2. 남·북·중 경제협력 연계의 불가피성/ 3.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 협력의 기회요인/ 4.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 협력의 위협요인 / 5.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 사업의 협력방안
4장 중·러 관계 긴밀화와 변수
1. 중·러 관계 긴밀화 동향/ 2. 분야별 중·러 관계 긴밀화/ 3. 중·러의 한반도 전략/ 4. 중·러 관계 지속성에 대한 예측과 변수/ 5. 중·러 긴밀화에 대한 한국의 대응
5장 미·중·일·러의 지정학과 한반도
1. 21세기 동북아시아 정세/ 2. 지정학의 정의와 현대적 의미의 지정학/ 3. 미·중·일·러의 지정학 전략/ 4. 한반도의 전략적 지정학
6장 평화의 시대, 남북 중심의 경제협력방안
1. 남북한 중심의 경제협력/ 2. 남북한과 제3국과의 경제협력/ 3. 남북한 경제협력이 나아갈 방향
7장 북방 경제협력과 한반도의 미래
1. 북방 경제협력, 기회와 가능성/ 2.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와 북방 경제협력의 시기적 적합성/ 3. 한·러, 남·북·러의 경제협력 기회/
4. 한-중앙아시아의 경제협력 기회/ 5. 대륙과의 연결, 한반도의 미래
8장 한반도를 위한 최상의 시나리오
1. 미국의 개입과 영향력/ 2. 중·러 관계의 최대 변수, 미국/ 3. 일본 경제보복과 한국의 대응/ 4. 한반도 평화를
책 속으로
대한책략은 미·중 패권전쟁과 일본 경제보복이 심화되고 동북아시아의 급변하는 상황 속에서 한국의 지정학적, 외교·안보적 고민이 깊어지는 한국의 미래를 위한 길, 한국이 처한 동북아시아의 상황과 미·중·일·러 4강과의 관계에 대한 점검, 불확실성이 높은 국제정치 상황 하에서 한국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중 무역분쟁이 장기화되면서 미·중 수출의존도가 37%에 이르는 한국은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한국 경제의 높은 대중국 경제의존도와 대중국 중간재 수출 편중은 미·중 갈등 상황에서 한국 경제의 아킬레스건이다. 더욱이 주한미군의 사드배치와 그에 따른 중국의 경제보복으로 미·중 갈등이 한국에 투사되었을 때 한국이 겪었던 경제적·외교적 어려움을 반추한다면, 양국의 자존심을 건 패권전쟁에 대한 한국의 대응전략 수립이 그 어느 때보다 중요하다.
그리하여 미·중 패권전쟁과 동북아시아를 둘러싼 급변하는 정치·경제·외교의 상황 속에서 한국의 미래를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제1장에서는 미·중 무역전쟁의 의미와 전망, 미국과 중국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한국의 대응방안에 대해 논의했다. 제2장에서는 중국이 대외적으로 선포하는 평화담론 이면의 일대일로 사업 협력의 문제점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제3장에서는 평양공동선언 직전에 한반도에 대한 일대일로 확장 계획을 발표한 중국의 의도를 파악하고, 한반도 신경제지도와 일대일로 협력의 기회요인과 위협요인에 대해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중국과 러시아 관계의 긴밀화와 지속가능성 그리고 중·러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중·러의 한반도 전략과 이에 대한 한국의 대응에 대해 논의하였다.
제5장에서는 21세기 동북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4강의 지정학 전략, 이 지정학 전략을 강하게 뒷받침하고 있는 지경학 전략에 대해 분석하고 한반도 전략적 지정학 정립의 필요성과 요건, 지정학 전략으로서의 신북방·신남방 정책, 신남방 정책과 인도-태평양 전략의 협력이 한반도 지정학에 갖는 함의를 살펴보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