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론 - 펠릭스 윌프레드
1장 아시아 공공신학: 사회학적 관점 - 로웨나 로빈슨
2장 아시아 공공신학: 그 사회적 자리 - K.C. 에이브러햄
3장 아시아 신학의 미래와 공공신학 - 펠릭스 윌프레드
4장 아시아의 주변화된 이들과 공적 공간 - P.T. 매튜
5장 다 종교 사회에서의 공공신학 - 마이클 아말라도스
6장 위기의 시대에 사회주의를 탐색하다: 공공신학에 대한 문제 제기 - 가브리엘레 디트리히
7장 공공신학: 인도 헌법의 관점에서 - D. 존 로무스
8장 하위주체의 사회운동: 그리스도교 사회윤리의 재발견을 위한 자리 - 조지 재커라이어
9장 아시아 교회들과 공공신학 - 이블린 몬테이로
저자 소개
우리가 말하는 대중은 모든 사람을 포함하는데, 특히 사회에서 소외된 이를 의미한다. 사회의 바닥에서 살려고 발버둥치는 이들에게 일어난 것은 단지 이들만의 문제가 아니라 일반 대중의 문제이기도 하다. 빈곤을 오직 가난한 사람들과 관계된 것으로만 이해해서는 안 된다. 빈곤이 공공의 문제이듯이 이주의 문제도 그러하고 또 인신매매나 카스트의 차별 등도 마찬가지다(12쪽.
공공신학은 ‘비이성적인 것’을 위한 공간을 ‘공적인 것’ 안에 자리 잡게 할 뿐 아니라 모든 이에게 전달될 수 있는 언어를 말하게 하고 ‘국가’와 ‘사회’가 대화할 수 있도록 ‘정서적인 것’을 설득하는 작업으로 보인다(35쪽.
공공신학은 하위주체(subaltern의 관점을 확고하게 견지해야 한다. 우리가 실천에 투신함으로써 신학적 패러다임에 일으킨 인식론적 파열은 하나의 순수한 성취다. 사실 이 관점은 다른 학문들과 교류하고 비판적인 교회일치 신학을 발전시키는 데 도움을 준다(51쪽.
아시아 공공신학은 여전히 형성 중에 있다. 어떤 의미에서는 주변화된 사람들의 투쟁을 통해서 아시아 사회 주변부에서 이미 공공신학이 형성되고 있다(113쪽.
공공신학은 다종교적 신학자 집단이 사회경제적 영역과 문화적 영역에서 사람들의 행동을 지배하는 가치들에 대해 합의하면서 각자 자신의 신앙적 전망 안에서 그 가치들을 뿌리내리려 애쓰는 환경에서 발생한다(133쪽.
공공신학은 아시아 교회를 공적인 교회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이는 아시아 사회와 교감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하다. 공공신학은 신앙이 사적이기보다는 인격적이고 사회적인 신앙이 되도록 채근한다. 공적인 교회가 된다는 것은 교회가 저잣거리로 뛰어든다는 것뿐 아니라 사회의 집단적 열망을 지닌 모든 사람에게 교회의 문을 개방한다는 것을 의미한다(217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