Ⅰ. 놀이지원
매일 반복되는 일상적인 놀이만 해요 | 교사가 계획한 활동을 해도 될까요? | 어떻게 놀이를 지원해야 할지 막막해요 | 놀이 허용을 못하는 나는 부족한 교사인가요? | 즉각적으로 자료를 지원하기 어려워요 | 놀이에 관심이 없는 유아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집단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아이들은 어떻게 해요? | 아이들의 의견을 반영한 마인드맵 활동이 잘 안 돼요 | 몇 명의 유아가 주도하는 우리 반 놀이 괜찮을까요? | 놀이할 때마다 선생님을 찾는 만 3세 아이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만 3세 유아, 놀이만 해서는 배울 게 없겠다는 생각이 들어요 | 공격적인 행동을 하는 아이들은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 왜 이렇게 정리가 힘들까요? 정리정돈을 잘하게 만드는 특급 비법이 있을까요? | 너무 어질러져서 참기 어려운데 중간중간 정리를 해야 하는지 고민이 돼요 | 계속 전시나 보관을 해달라고 해요 | 정리시간에 정리를 안 하고 놀거나 가만히 있어요 | 정리시간만 되면 물을 먹거나 화장실에 가요 | 통합학급에서 놀이중심 교육과정을 어떻게 실천해야 할까요?
Ⅱ. 교사와 유아가 함께 만들어가는 교육과정
이제는 저만의 브랜드를 가지고 학급운영하기 어려울 것 같아요 | 교사의 철학을 세우라는 이야기는 정말 어려워요 | 연간교육계획에 대해 동료선생님과 생각이 달라요 | 주간교육계획안 때문에 유아 주도 놀이를 지원하기 어려워요 | 월간교육계획안을 작성하기 어려워요 | 사후놀이안에 사진을 넣을 때 신경 써야 하는 부분이 많아서 힘들어요 | 사후놀이안에 주제와 관련된 특별한 놀이를 넣고 싶어요
Ⅲ. 놀이기록
기록에 대한 선생님의 고민은? | 나만의 놀이기록을 찾아서 | 놀이기록을 하는 나만의 이유 | 놀이기록 속 배움을 찾고 싶어요
Ⅳ. 공개수업
공개수업에 대한 교사들의 고민 | A교사의 공개수업 실제 사례 | 헬퍼나라쌤의 유아주도놀이 공개수업이야기 | 교사의 활동으로 공개수업하기 | 학부모 공개수업은 유아주도놀이 VS. 교사가
놀이는 우리의 뇌가 가장 좋아하는 배움의 방식이다
개정 누리과정은 유아의 놀이를 통한 배움을 강조한다. 놀이의 의미와 가치를 발견하고, 놀이를 지원하는 방향과 내용을 결정하는 것은 교사에게 부여된 매우 중요한 역할이다. 교사는 유아의 생각을 탐구하고 그들의 흥미와 관심이 배움으로 확장되는 과정에 대해 끊임없이 귀 기울이고 관찰해야 한다.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의 핵심은 아이들이 무엇을 원하는지 끊임없는 소통으로 알아내 ‘그것’을 하라고 조언하며, 빈 곳을 함께 채워나가는 것이다. “어린이는 하늘을 나는 새다. 마음에 들면 날아오르고, 마음에 들지 않으면 날아가 버린다”는 트루게네프의 말을 마음에 새기며, 유아들과 함께 호흡하고, 생활한다. 놀이를 통한 배움의 경험과 놀이를 위한 교사의 지원이 서로 순환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유아들은 평생의 자양분이 될 배움을 얻는다. 이 과정에서 유아뿐만 아니라 교사의 배움과 성장도 함께 이루어진다는 것은 덤이다.
계획대로 되지 않는다고 해서 그것이 불필요한 것은 아니다
무엇이든 한 번에 이룰 수 있는 것은 없다. 특히 ‘교육’은 백년지대계(百年之大計라는 말처럼 앞일을 미리 준비하여 방법이나 절차를 세워야 한다. 갑작스럽게 느껴질 수도 있는 「2019 개정 누리과정」은 실제 교육 현장에 많은 시행착오를 가져왔다. 유아·놀이중심 교육과정은 ‘정답’이 아닌 ‘방향성’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여전히 현장에서는 생각처럼 되지 않는 많은 상황 앞에서 우왕좌왕하기 일쑤고, 누구도 무엇이 정답이라고 답을 주지 못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처음엔 길이 아니었더라도 많은 이들이 그곳을 지나면서 길을 만들었듯, 고민하고, 공부하는 많은 이들이 하나씩 하나씩 길을 만들고 있다. 자신들의 경험을, 지식을 공유하며 만들어가는 그 길의 한가운데 이 책 『놀이중심 교육과정 119』가 있다.
놀며 생각하며 배우는 행복한 유아와 함께 성장하는 우리
『놀이중심 교육과정 119』은 현장에서 유아들과 함께 생활하는 두 선생님의 생생한 경험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