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과제협의회 정책기획시리즈 발간에 붙여
서론 _ 비대면 시대의 교육 분야 디지털 대응 전략
제1부 비대면의 확산과 우리의 교육 현실
제1장 코로나19 확산 등 교육 현장 변화에 따른 문제점과 이슈
제2장 학교 현장에서 본 비대면 교육의 문제점과 한계
제3장 비대면 교육 전환에 따른 정책지원 요구사항
제2부 비대면 교육 관련 정책의 현황과 한계
제4장 비대면 교육 관련 정책의 추진 현황
제5장 해외 주요국의 비대면 교육 관련 정책
제3부 디지털 포용사회 구현을 위한 비대면 교육 정책의 개선 과제
제6장 비대면 교육 관련 정책의 성과와 과제
제7장 비대면 교육 관련 정책의 목표와 방향
제8장 비대면 교육 관련 정책의 구체적 실현 방안
참고문헌
국정과제협의회 정책기획 시리즈 제15권 ‘디지털 포용사회와 비대면 교육’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는 기술을 따라잡기도 힘든 상황에서 등장한 코로나19는 사회·경제의 패러다임을 완전히 변화시켰다. 특히 감염 위험을 낮추기 위해 밀집, 밀접, 밀폐를 피해야하는 것이 상식이 되면서 삶의 곳곳이 비대면화가 되고 있다. 재택근무, 온라인 수업, 키오스크 주문 등은 이제 익숙한 일상이 되었고 온라인을 통한 서비스는 이미 우리 생활에 스며들고 있었으나 코로나19로 인해 더욱 촉진되었다.
코로나 뉴노멀이라는 말이 등장한 것처럼 한국 경제는 방역과 비대면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인한 급격한 환경 리스크를 직면하고 생활방역이 일상화된 것에 따라 ‘비대면을 통한 초연결 사회’가 새로운 모델로 주목되고 있으며, 한국 정부도 포스트 코로나19 언택트·뉴노멀 시대 대응을 위한 디지털 뉴딜정책의 일환으로 한국판 뉴딜을 제시하기도 했다.
비대면 산업을 위한 혁신의 가속화와 코로나19 상황의 지속은 여러 문제를 노출하고 있는데, 특히나 저소득층 등 취약계층의 디지털 문제가 심각해지면서 디지털 격차나 양극화 등, 불평등이 심화될 것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세계는 디지털 포용에 주목하고 있다. 디지털 포용에 대하여 국가별로 정의하는 바는 조금씩 다르나, 공통적으로는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는 전 국민이 디지털 역량을 갖추고, 차별 없는 디지털 이용 환경 속에서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 혜택을 모두가 누릴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각 사회와 산업의 특성에 맞는 포용정책을 구상하는 것이 중요하며, 교육, 의료, 복지, 문화, 일상 등 다양한 분야들이 있으나, 이 책에서는 특히 교육에 집중하였다.
코로나19의 장기화로 인한 등교일수의 축소는 학습·정서의 결손을 발생시킬 우려를 불렀는데, 실제로 ?2020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학습결손이 발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대면 교육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공교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