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말
1장 새로운 세대에게서 새로운 것을
-정치인이란 어떤 사람일까?
-정치인은 어떤 사람이 되는 걸까?
-만들어지는 정치인
-정치인의 탄생과 역할
-비직업인으로서의 정치인
-새로운 세대에게서 새로운 것을!
2장 청년을 위한 정당은 없다
-정치도 사회와 함께 늙어가는 걸까?
-한국의 정당에서는 그래도 되니까
-카탈로그는 다들 그럴듯하지만
-악마는 디테일에
-조직의 쓴맛
-돈
-예루살렘
3장 청년세대는 준비되어 있는가
-청년 정치의 오늘
-무장한 예언자의 등장
-대한민국의 ‘무장한 예언자’는 누구였는가?
-586세대는 무장한 예언자인가?
-청년세대, ‘무장한 예언자’가 될 수 있는가?
-청년세대의 어젠다에 대해 생각하며
-청년세대 앞에 놓인 선택의 길
4장 젊은 대통령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현장의 소리를 듣는 자
-활력 있고 유연한 자
-돌보며 함께 성장하는 자
-양극 정치를 벗어나는 자
-전환과 통합으로 나아가는 자
5장 젊은 정치인의 등장을 막아서는 것들
-영웅, 지도자, 정치인
-어느 지식인이 그린 지도자상
-나이가 많을수록 유리하다?
-거기서 목이 부러질 토끼가 또 있을까요?
-불혹의 나이에 다들 이립 걱정
-인구추계로 본 40대의 위상
-취약한 물적 토대
-수주대토의 세력들
6장 캠프정치, 팬덤정치 그리고 룸펜 정치인
-청년의 낮은 대표성
-왜 대표성이 중요한가?
-청년 대표성의 현황과 제도적 논의
-정당의 체계적 인재육성시스템 부재
-정당정치의 활성화로 첫걸음을!
7장 정치의 고령화와 청년 정치의 활성화
-한국에서는 젊은 대통령이 나오지 않는 이유
-기득권 중심의 공천제도와 정치 신인의 좌절
-청년 정치인 육성과 부정적 정치문화
-‘공천 카르텔’이라는 장벽
-청년 정치의 활성화, 어떻게 풀어야 할까?
-청년세대, 새로운 동력이 될 수 있을까?
8장 해외에서 불어오는 변화의 바람
-왜 꼭 서구인가?
-영국, 청년 정치의
청년세대는 준비되어 있는가?
청년 정치의 오늘을 말하다!
전 세계적으로 이른바 ‘젊은 리더십’이 집권에 성공하고 있다. 기성 정치에 대한 환멸, 변화에 대한 갈망이 젊은 리더의 등장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 실제로 유럽 48개국 가운데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23개국 정상이 30~40대에 집권에 성공했다(2020년 기준. 대표 인물로는 프랑스의 에마뉘엘 마크롱, 핀란드의 산나 마린, 오스트리아의 제바스티안 쿠르츠, 아일랜드의 리오 버라드커를 들 수 있겠다. 유럽만이 아니다. 뉴질랜드의 저신다 아던, 엘살바도르의 나이브 부켈레, 코스타리카의 카를로스 알바라도 케사다 등 전 세계 곳곳에서 젊은 리더들이 출현하고 있다.
반면 한국은 어떨까? 사회의 고령화에 따라 정치 영역 역시 고령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이는 수치로도 드러나는데, 국회의원 평균연령을 살펴보자. 19대 53.9세, 20대 55.5세에 이어 21대 국회는 59.4세로 매번 최고치를 경신하고 있다. 21대 국회에서 40세 미만 의원은 전체 의석의 4.3퍼센트인 13명에 불과하다. 21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 40대 미만 유권자가 전체 유권자의 33.8퍼센트였던 것을 감안하면, 젊은 세대가 한국 사회에서 심각하게 과소대표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전 세계적인 흐름과 이와 상반되는 한국의 상황을 보면서 이런 질문들을 던질 수 있겠다. “한국에서 유독 젊은 리더, 곧 젊은 정치인이 등장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젊은 리더의 등장이 전 세계적 흐름이니 한국도 거기에 발맞춰야 하는 걸까?” “정치의 노령화가 꼭 나쁜 현상일까?” “청년세대는 기성 정치세력이 만들어놓은 카르텔을 뛰어넘을 역량을 가지고 있는가?” “어떤 사회적·정치적 시스템을 갖췄기에 해외에서는 30~40대 정치인이 국가의 수장이 될 수 있는 걸까?” 같은 것들이다.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 한국 청년 정치의 실상!
이 책 《청년을 위한 정치는 없다》는 바로 이 질문들에 관한 이야기다. 정치학자 라종일 교수를 비롯한 8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