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중세 수녀원과 여성의 자기 목소리
여성의 침묵과 수녀원의 역할
여성과 책
세 여성 신비가의 비전 이야기
2 빙엔의 힐데가르트 ― 비전 그림의 여성성과 자연관
빙엔의 힐데가르트 생애
힐데가르트의 비전과 『쉬비아스』
힐데가르트가 본 ‘우주’
힐데가르트가 본 ‘아담과 이브의 창조와 타락’
힐데가르트가 본 ‘아담의 창조, 타락, 구원’
서정적인 추상화 <추락하는 별들>
힐데가르트와 연옥
초록의 생명력
지혜로서의 여성
3 폴리뇨의 안젤라 ― 광적인 비전과 능동적인 미술감상
능동적인 미술감상자, 안젤라
안젤라의 생애
‘채색 십자가’와 안젤라의 비전
“눈으로 볼 수 있는 것보다 더 가까이 안아주겠다”
성금요일, 그리스도와 함께 관에 눕다
심상의 이미지와 미술의 만남
4 시에나의 카타리나 ― 만들어진 열전과 실제의 삶 사이
공적 이미지와 실제 삶의 차이
열전이 전하는 카타리나의 일생
금식과 신비한 비전, 기적을 강조한 카타리나 이미지
만들어진 비전과 실제 비전
실제의 카타리나, 장군의 연설 같은 글
카타리나의 정치력
제단화의 공적인 이미지
5 성녀의 비전 기록과 고해사제
우연히 잘못된 사람? 중세의 왜곡된 여성관
빙엔의 힐데가르트와 볼마르
폴리뇨의 안젤라와 A형제
시에나의 카타리나와 카푸아의 라이몬도
최선의 선택, 성녀와 고해사제의 협력
6 고행과 금식 ― 참회와 몸의 정치
비전과 고행
힐데가르트의 병약함, 병인가 무기인가
폴리뇨의 안젤라와 달콤한 고름
시에나의 카타리나의 영웅적 단식, 참회인가 수단인가
금식의 정치?
수동적이면서 동시에 능동적인 선택
7 에로틱한 비전 ― ‘그리스도와의 신비한 결혼’
알렉산드리아의 카타리나와 ‘그리스도와의 신비한 결혼’ 이미지 변천
시에나의 카타리나와 ‘그리스도와의 신비한 결혼’
노래 중에서 가장 아름다운 노래, ‘아가’
사랑의 화살
집으로서의 하트
여성 신비가들의 에로틱한 비전
중세 여성에게 허용된 최고의 공적 이념
8 엑
중세의 침묵을 깬 여성들의 비전과 삶을 미술을 통해 들여다본다
― 중세에는 ‘왜 여성 미술가가 없을까’라는 질문에 답하는 책
서양 중세와 르네상스 미술사학자 이은기 교수가 『욕망하는 중세』(2013, 사회평론에 이어 중세 미술과 세 성녀 이야기를 다룬 『중세의 침묵을 깬 여성들』을 출간했다. 이 책은 아주 단순한 호기심에서 출발했다. 오랫동안 종교미술을 공부하면서 마리아, 막달아 마리아처럼 성경에 등장하는 여성의 그림은 많이 보았는데, 중세 유럽에서 실제 살았던 여성은 어떻게 그려졌을까 하는 것이었다. 제일 먼저 시에나의 카타리나의 제단화를 떠올렸고, 그녀에 관한 글을 찾아 읽기 시작했다. 왜 제단화 속의 신비한 ‘공적인 이미지’와 실제 모습이 다를까. 여성에게 금지사항이 많았던 중세 시대에 지성이나 감성이 뛰어난 여성은 어떻게 견뎠을까. 이 책은 이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미술사에서 이 질문이 처음은 아니다. 미국의 미술사학자 린다 노클린은 “왜 위대한 여성 미술가는 없는가”라는 질문을 던졌다. 당시 미국에서 미술사 개설서로 널리 읽히던 H. W. 잰슨의 『세계 미술의 역사』 안에 작품 이미지가 500개가 넘는데, 그중에 여성작가 이름이 단 하나도 없었기 때문이다. 노클린은 여성의 능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여성에게 불평등한 교육 제도와 사회제도에 이유가 있다고 결론을 이끌었다.
중세 미술, 특히 성녀와 관련된 미술의 경우, 미술사에서는 성녀를 그린 작품의 양식과 도상 등 미술적 요소를 밝히는 데 주력했고, 종교사에서는 성녀의 신비주의에 집중했다. 문학사가들은 시각적 형상을 해석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이러한 기존 연구의 경계를 허물며 한계를 뛰어넘은 것이 이 책의 특징이자 가치이다. 시작은 미술사이지만 종교미술을 하나의 예술 작품으로 보거나 종교 일화의 설명으로 감상하는 것이 아니라 성녀의 비전 체험과 발언에 주목하고, 성녀 이미지에 투영된 당시 가톨릭 사회의 여성상의 문제를 좀 더 구체적이면서도 다각적으로 접근한다. 이를 통해 중세를 견뎌낸 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