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의 글 _백도명
시작하며: 우리의 일터와 마음의 안녕에 관한 이야기_최민
1장 일과 정신건강 _정지윤
1. 직무 스트레스의 여러 얼굴
2. 일은 어떻게 스트레스를 만드나
1 직업성 긴장 모델
2 노력-보상 불균형 모델
3 조직정의 모델
3. 직무 스트레스 측정하기
4. 스트레스가 병이 되지 않도록: 개인적 중재와 조직적 중재
5. 건강하게 일하기 위해 직무 스트레스를 다루기
2장 정신질환의 이해 _정여진
1. 정신질환이란 무엇인가
2. 정신질환은 어떻게 생기나
3. 정신질환과 정신질환 치료 이해하기
1 정신질환과 정신질환 치료에 관한 오해들
2 좋은 치료 기관의 요건과 환자의 권리
4. ‘업무상 정신질병’으로 언급되는 주요 질환들
5. 독이 되는 일, 득이 되는 일
3장 자살의 이유는 알 수 없다지만 _류한소
1. 그 사회의 ‘문제’ 자살: 자살에 이름 붙이기
2. 그 일터의 ‘문제’ 자살: 끝내 이기지 못하고 극단적인 선택을 했다
3. 한국의 업무 관련 자살 현황
1 통계청과 경찰청의 통계 들여다보기: 정신적·정신과적 문제
2 산재 통계 들여다보기: 0.01%의 사람들
3 심리부검자료 들여다보기: 숨겨진 이야기를 찾아서
4. 그는 어떤 일을 했나요?
4장 정신질병과 자살의 산업재해 보상 _박경환
1. 산업재해 승인을 받으면 보상받을 수 있는 것들
2. 정신질병 산업재해 신청에 필요한 것들
1 요양급여 신청서 작성하기
2 병원에 소견서 요청하기
3 재해경위서 쓰기
3. 산업재해 신청 이후의 절차
1 근로복지공단의 재해조사
2 업무상질병판정위원회 참석
3 산업재해 승인을 받았을 때
4 불승인되었을 때 해야 할 일
4. 정신질병의 업무상 재해 판단 경향에 대한 개선점
5장 일하다 마음 다치지 않는 직장을 위해 _최민
1. 사업주의 의무, 노동자의 권리
2. 직장 내 정신건강 증진을 위한 접근
1 순서대로, 체계적으로 접근
2 1차, 2차,
스트레스와 정신질환을 부르는 ‘조용한 폭력’
일 때문에 우울하고 불안한 사람들
2018년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남성 73.3%, 여성 69.8%가 직장생활에서 스트레스를 받고 있으며, 지난 1년 사이 자살 충동을 느낀 적 있는 5.1%의 사람 중 9.4%가 직장 문제를 이유로 들었다. 구체적이거나 객관적이지 않으며 잘 드러나지도 않는 사회심리적 위험은 다양한 양상으로 존재한다. 노동시간이 길수록, 비정규직일수록, 야간이나 주말에 근무할수록 우울증 위험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여럿 제시된다. 1장에서는 직무 스트레스의 여러 모델과 각각의 사례를 소개하고 조직의 상황과 배경 등에서 스트레스원을 지목한다. 직무 스트레스의 측정 방법과 중재 방식, 유해 요인도 서술하며 눈에 보이지 않는 직장에서의 스트레스 요인들을 제대로 마주하는 것이 개입을 위한 첫걸음이라고 지적했다. 노동자에 미칠 건강상 영향을 예측하고 노동자를 위험에서 보호하는 것이 사업주의 의무라는 점도 분명히 하고 있다.
정신질환과 그 치료에 관한 오해를 짚어보고 업무 때문에 나타날 수 있는 정신질환의 양상과 사례도 살폈다. 일생에 단 한 번이라도 정신질환을 앓은 사람의 비율(2018년 국가 정신건강 현황은 국민 네 명 가운데 한 명 꼴인 25.4%에 달한다. 2장에서는 정신질환이 왜 생기는지, 다른 질병과 다른 특징은 무엇인지와 함께 ‘나약하기 때문에 정신질환이 생긴다’, ‘정신과 치료를 받으면 취업에 지장이 있다’, ‘정신과 약은 중독을 유발한다’와 같은 오해를 바로잡았다. 어떤 기관에서 어떻게 치료받아야 할지에 관한 조언도 유용하다. 우울장애, 불안장애, 적응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등 업무를 이유로 발생할 수 있는 정신질환에 무엇이 있는지도 점검했다.
한국의 자살 사망률(2020년 사망원인 통계은 인구 10만 명당 25.7명인 1만3,195명으로 OECD국가 중 최고 수준이다. 3장에서는 자살 관련 통계 분석을 통해 배경을 유추하고 노동자의 자살을 바라보는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