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글 제2판 서문 서론 제1부 신학과 자유주의 제1장 정치신학과 새로운 정치학 제2장 정치경제학은 신정론이자 경쟁의 법칙 제2부 신학과 실증주의 제3장 사회학 I: 말브랑슈에서 뒤르켐까지 제4장 사회학 II: 칸트에서 베버까지 제5장 숭고함에 대한 감찰: 종교사회학 비판 제3부 신학과 변증법 제6장 헤겔에 대한 동의와 반대 제7장 마르크스에 대한 동의와 반대 제8장 초자연의 토대를 놓기: 현대 가톨릭 사상의 맥락에서 살펴본 정치신학과 해방신학 제4부 신학과 차이 제9장 과학, 권력, 실재성 제10장 존재론적 폭력 또는 탈근대적 문제들 제11장 덕의 차이, 차이의 덕 제12장 다른 도성: 신학은 하나의 사회과학
급진 정통주의(Radical Orthodoxy는 그 이름부터 의문을 자아낸다. 기독교 정통주의를 천명하는 신학이론이 어떻게 급진적일 수 있는가? “정통”을 수식하는 “급진”이란 말은 그 어원이 함의하는 대로 “근본(적”이라는 뜻으로 이해하는 것이 더 적절하지 않을까? 이 새로운 신학운동에 대한 질문은 계속해서 이어진다. 그것이 표방하는 정통이 이른바 세속적 근대성을 비판하고 극복하기 위해서 아우구스티누스로 대표되는 교부신학의 준거를 대안으로 제시하는 것이라면, 이는 과거의 정태적이고 유기적인 공동체에 호소하는 복고적 태도가 아닌가? 기독교의 자의적 세계관에 기초해서 사회과학 일반에 대한 신학의 우위를 내세우는 것은 근거 없는 신앙지상주의가 아닌가? 근대성(modernity을 넘어선 “탈근대 신학”(postmodern theology을 지향한다는 미명하에 모든 사상의 “공존가능성”(compossibility을 상정하는 것은 뻔한 자유주의적 어법 뒤에 근대성의 또 다른 얼굴인 가치중립적 합리주의를 감추고 있는 것은 아닌가? 이러한 다소 신랄하고 때로 오해 섞인 질문들에 대해 당장에 속 시원한 해답을 내어놓기에 앞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아직도 한국 신학계에 그 전모가 드러나지 않은 급진 정통주의의 지형을 먼저 파악하는 것이 아닐까? 국내에 처음으로 번역·출간된 존 밀뱅크의 ??신학과 사회이론??(Theology and Social Theory은 급진 정통주의 기획의 효시가 되는 기념비적 저작으로서, 최근 들어 의문과 논란의 핵으로 부상하고 있는 급진 정통주의의 영토를 답사하고자 하는 신학적·인문학적·과학적 지성들 앞에 그 비밀의(theurgic 초대장을 내밀고 있다.
??신학과 사회이론??은 모두 4부로 구성되어 있다. “신학과 자유주의”(Theology and Liberalism라는 제목이 붙은 제1부에서는 급진 정통주의의 비판 대상인 근대적 세속 이성(secular reason이 그 활동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세속부문(the secular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