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미륵과 도솔천의 도상학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에 근거하여
저자 고혜련
출판사 일조각
출판일 2011-09-20
정가 38,000원
ISBN 9788933706169
수량
목차
지은이의 글
1. 들어가며
2. 미륵신앙과 북위 불교의 전개
2-① 미륵신앙의 전개
2-② 북위의 불교 유입과 전개
(1 북위 불교와 전륜성왕 사상|(2 운강석굴 축조와 불교사상|(3 북위의 법란과 미륵 친견 시기
3. 미륵신앙과 교각상 도상
3-① 도상학적 방법론에 따른 불상 분석
3-② 교각상의 기원
3-③ 교각상의 복식과 북위 양식
(1 교각보살상의 복식형|(2 교각부처상의 복식형|(3 교각상과 북위 양식
3-④ 미륵상생신앙과 교각보살상 도상
(1 조상 명문에 나타난 미륵상생신앙|(2 미륵상생보살의 도상
3-⑤ 미륵하생신앙과 교각불상 도상
(1 조상 명문에 나타난 미륵하생신앙|(2 미륵하생불의 도상
4. 『상생경』과 사유상 도상
4-① 『상생경』에 기반한 새로운 사유상 도상의 정립
4-② 『상생경』과 사유관
(1 관법수행: 관자와 피관자|(2 사유관법
4-③ 사유관과 반가사유상 도상
4-④ 사유관과 교각사유상 도상
5. 『상생경』과 도솔천 도상
5-① 『상생경』과 문수산 만불동 벽화
5-② 도솔천의 도상
(1 천자|(2 보궁|(3 천신 뇌도발제|(4 선법당|(5 오대신|(6 정원
6. 나오며
부록
표 1 운강석굴의 미륵불감 위치
표 2 운강석굴에서 교각본존불과 좌우 협시 반가상 구조를 가진 미륵불감의 위치
표 3 천개에 표현된 내영상 도상: 시무외인의 교각본존불과 천인상 및 선정불
표 4 설법상: 전법륜인의 교각본존불과 연화좌
표 5 협시상 불감이 독립된 삼존불 구조
약자 설명
참고문헌
도판 출처
찾아보기
출판사 서평
저자 서정운은 기업에서 오랫동안 인사를 담당하면서 면접에 참여하였다. 현재 한국문예산업연구원 원장으로 지자체 ?약 2세기경 페르시아 문화와 함께 중국에 들어온 미륵신앙은 5∼6세기 북위시대에 매우 중요한 정치적·종교적 사상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5세기 초 중국에 소개된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은 미륵신앙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북위의 불교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필자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북위시대 운강석굴의 불상과 문수산 만불동 벽화 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유물이 조성될 당시의 역사적 맥락을 ...
저자 서정운은 기업에서 오랫동안 인사를 담당하면서 면접에 참여하였다. 현재 한국문예산업연구원 원장으로 지자체 ?약 2세기경 페르시아 문화와 함께 중국에 들어온 미륵신앙은 5∼6세기 북위시대에 매우 중요한 정치적·종교적 사상으로 자리 잡았다. 특히 5세기 초 중국에 소개된 『불설관미륵보살상생도솔천경』은 미륵신앙의 대표적인 경전으로서, 북위의 불교미술에 큰 영향을 미쳤다. 필자는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적 방법론에 근거하여 북위시대 운강석굴의 불상과 문수산 만불동 벽화 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다. 먼저 유물이 조성될 당시의 역사적 맥락을 파악하고, 다음으로 유물 조성의 바탕이 되었을 경전 내용과 연관하여 유물을 분석함으로써 유물 구성요소 하나하나의 의미를 밝혀내었다. 또한 그 연장선상에서 중국 불교문화와 우리나라 불상의 연관성을 검토하였다. 이는 양식 변천사에 치중한 우리 불교미술사 연구 흐름에 진지한 질문과 함께 새로운 연구방향을 제시한다.
반가사유상 하면 우리 뇌리에 떠오르는 것은 국보 78호 불상처럼 좌대에 앉아 한쪽 다리를 다른 쪽 다리 위에 올린 자세에서 한 손은 얼굴에, 다른 한 손은 발목에 올려놓은 모습이다.
일반적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이러한 자세의 불상을 미륵반가사유상이라고 부른다. 하지만 턱을 한 손으로 받치는 사유思惟 수인手印을 하고 반가 자세를 하여 반가사유상이라 부른다는 사실 외에, 도상학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