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개념사총서 일상 편 발간사 5
책을 펴내며-식민적 감수성과 탈식민적 원심력으로서의 한국 근대의 취미 9
프롤로그-근대적 개인의 존재감과 정체성의 표상 16
1부. 오래되었으나, 낯설고 새로운
1장. 근대와 취미의 탄생 27
‘취미’의 개념은 어떻게 나타났을까 28|서구에서 테이스트taste는 어떻게 탄생하고 형성되었나 33|‘슈미’しゅみ(趣味, 일본이 받아들인 ‘테이스트’ 43|근대 중국의 취미 개념 56
2장. 취미의 한국적 전사前史 63
취미 유입의 초창기 흔적 64|취趣와 미味, 취미趣味와 취미臭味 69|취미臭味, 풍류風流, 기嗜, 벽癖, 치致―취미의 한국적 전사 71
3장. 취미와 계몽 85
취미가 개화기 계몽 담론을 만났을 때 86|근대적 직분과 교육 논리부터 단순한 흥미와 호기심까지 92
2부. 취미의 한국적 정착
1장. 근대 문명과 문화가 호출한 취미 103
『소년』과 신지식, 최남선의 ‘취미’ 104|‘취미’趣味와 ‘취미’臭味의 경합 110|문명과 문화 그리고 식민 115|『청춘』, 고상한 쾌락과 활력으로서의 ‘취미’ 119
2장. 취미와 학생의 자질 131
『신문계』, 학술과 취미 132|‘취미와 실익’, 학생의 자질 141
3장. 조선의 취미화趣味化와 공공 취미 151
『조선』, 『조선과 만주』와 공공 취미 152|공공 오락으로서의 구경과 관람 그리고 운동회 162
4장. 시각적 스펙터클과 취미 175
공진회와 박람회, 구경꾼과 관객 176|시각적 스펙터클과 취미를 즐기는 주체 183
3부. 취미의 제도화
1장. 오락과 재미, 문화상품이 된 취미 193
신파극의 인기 194|영화와 대중음악, 취미의 대중화와 상업화 198
2장. 교육제도와 취미의 내면화 207
수신 교과서 취미를 가르치다 208|공식 문서에 기록되기 시작하다 213
3장. 근대적 인간의 조건과 라이프스타일 221
개조와 계몽, 취미 담론의 관념성 222|사교와 도시
■ 일상의 문화에서 역사적이고 사회적으로 형성된 ‘취미’, 한국 근대의 산물
‘취미’는 한자 ‘취’(趣와 ‘미’(味로 이루어져 있어 언뜻 역사가 오래된 개념으로 보이지만, 이 책에 의하면 우리가 쓰는 ‘취미’는 100여 년 전쯤부터 본격적으로 쓰이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상의 문화에서 역사적이고 사회적으로 형성되었다. ‘취미’는 한국 근대의 산물이다.
■ 근대 초기 ‘취미’는 계몽의 의미와 관련
신문과 잡지 등 근대 매체에 ‘취미’가 자주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1900년대이다. 흥미로운 점은 ‘취미’가 당대의 시대정신인 계몽 및 문명 담론과 결합하였다는 것이다. 『황성신문』(1899년 7월 7일 논설에서 처음 발견된 ‘취미’는 실업과 부국강병, 식산흥업을 강조하는 맥락에서 사용되었고, 최남선이 펴낸 잡지 『소년』과 『청춘』에서는 근대 문명의 ‘신지식’이라는 차원에서 쓰였다. 그리고 ‘취미’가 ‘학생의 자질’로 언급되며 교육과 연계되고 ‘실질적인 이익’과 연결되었음을 고려하면, 20세기 초반 ‘취미’는 분명히 계몽적 의미를 띠었다.
■ 구경과 관람이라는 취미 형식으로 식민지 조선인을 관리하고 규율
벚꽃놀이, 당시에는 관앵회라고 불린 도시생활의 취미는 1920년대 초반에 처음 선을 보였다. 창경원과 우이동 관앵회는 절정기에 임시 열차를 운행해야 할 정도로 당시 경성에서 최고 인기 있는 오락이자 취미였다. 일제가 창경궁을 창경원으로 격하하며 동물원과 식물원을 세운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여기에 더해 창경원을 벚꽃놀이의 명소로 만든 것도 그러한 식민주의적 의도의 연장선상에 있음을 짐작케 한다.
공진회와 박람회도 식민지 조선인들에게 새로운 구경거리를 제공했다. 관앵회, 공진회와 박람회, 운동회는 구경과 관람이라는 취미 형식으로 식민지 조선인을 관리하고 규율하고자 했다. 시각적 스펙터클을 통해 대중을 수동적 구경꾼에 머무르게 하고 사회적으로 규범화한 것이다.
■ 대중문화의 도래, 취미의 상업화와 대중화, 현대인의 조건
한국인에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