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PREFACE 제1장 서 언 제1절 연구 목적과 필요성 제2절 연구사 검토 제3절 본문의 구성과 연구 방법 제2장 한국 및 한국사 관련 서양어 고문헌의 현황과 등장 과정 제1절 한국 관련 서양어 고문헌의 현황 1 시기별 자료 현황 2 저자별 자료 현황 3 언어 및 출판지별 자료 현황 제2절 한국사 관련 서양어 고문헌의 등장 과정 1 동아시아의 역사에 대한 종합적 접근 2 한국 문화에 대한 관심과 역사의 절목화 3 한국사 이해의 심화와 통사적 저술의 출현 제3장 18세기 이전 : 한국사 서술의 출발과 인식의 형성 제1절 16~17세기 : 한국 관련 서술의 등장과 초기 인식 1 시대적 배경 2 주요 자료의 특징 3 태동기 한국 관련 서술의 의의와 한계 제2절 18세기 : 한국사 서술의 출발과 인식의 형성 - 뒤 알드의 《중국사》(1735 1 서술의 동기와 배경 2 서술의 구성과 핵심적 내용 3 형성기 한국사 인식의 의의와 한계 제4장 19세기 : 한국 외부에서 서술된 한국통사 제1절 존 로스의 《한국사》(1879 1 로스의 생애와 《한국사》의 저술 배경 2 저술의 구성과 핵심적 내용 3 한국사 인식의 의의와 한계 제2절 윌리엄 엘리엇 그리피스의《한국, 은둔의 나라》(1882 1 그리피스의 생애와 《한국, 은둔의 나라》의 저술 배경 2 저술의 구성과 핵심적 내용 3 한국사 인식의 의의와 한계 제5장 20세기 : 한국 내부에서 서술된 한국통사 제1절 호머 베절릴 헐버트의 《한국사》(1905 1 헐버트의 생애와 《한국사》의 저술 배경 2 저술의 구성과 핵심적 내용 3 한국사 인식의 의의와 한계 제2절 제임스 스카스 게일의 《한국 민족사》(1927 1 게일의 생애와 《한국 민족사》의 저술 배경 2 저술의 구성과 핵심적 내용 3 한국사 인식의 의의와 한계 제6장 결 어 부 록 [1945년 이전까지 출간된 한국관련 서양문헌 목록] 참고문헌
국내외를 막론하고 지식의 생산?수용?유통의 세계화가 선택이 아닌 필연적 추세가 되어 가고 있다. 한국 사회에서 이러한 추세는 20세기 말, 특히 1990년대로 들어서면서 한러, 한중 수교를 기점으로 그동안 단절되었던 공산권과의 경계가 허물어진 이후 본격화 되었다. 또한 1990년대 중반 인터넷의 대중화로 인해 전 세계가 실시간으로 소통하는 시대를 맞이하며 이는 더욱 가속되었다. 한국 및 한국사에 대한 인식(認識과 기술(記述도 이런 흐름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세계인이 국경을 넘어 빈번하게 왕래하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무한의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시대상은 한국사에 대한 관점과 연구에도 강력한 영향을 미치는 요건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21세기의 세계화?정보화의 단계에 진입하기 이전의 한국사 연구를 되돌아보면, 한국사에 대한 지식을 민족과 국가 내부에서 생산하고 수용하는 국내적 순환이 오래도록 지속되었다. 박은식(朴殷植과 신
채호(申采浩에 의해 정립되고 정인보(鄭寅普, 안재홍(安在鴻, 문일평(文一平 등에 의해 계승된 민족주의 사관이 그 대표적인 예다. 이러한 ‘민족사관’은 일본과 중국 즉 ‘식민사관’과 ‘동북공정’을 극복하는 차원에서 현재까지도 지속되고 있다. 민족사를 주체적으로 해석하며 민족구성원에게 자신의 역사를 이해시키는 것은 언제나 중요한 과제이겠으나, 한편으로는 외부와의 소통과 교섭을 위하여 그들이 인식하여 기술했던 한국사를 이해하는 일 또한 매우 의미 깊은 학문적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이러한 문제의식 아래, 한국 및 한국사에 대한 기술이 우리 내부가 아닌 외부에서 수백 년 동안 축적되어 왔다는 사실에 특별히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한국의 바깥에서 축적되어 국제적 영향력을 보유하게 된 한
국 및 한국사에 대한 지식은, 그 내용이 긍정적이든 부정적이든 한국 및 한국사를 입체적으로 조명하는 소중한 자산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물론 제3자라고 할 수 있는 서양인의 저술만이 항상 객관적이고 타당하다는 인식이 반드시 옳다고 말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