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스크린 위의 테크노피아 : 영화 텍스트에 재현된 기술-문명의 세계
저자 함충범
출판사 (주박이정출판사
출판일 2022-02-28
정가 18,000원
ISBN 9791158483470
수량
머리말

제1장 초기 영화의 근대성, 그리고 속도의 테크놀로지
1. 들어가며
2. 가속화에 대한 욕망과 불안
3. 시계(視界의 확장과 근대의 양면성
4. 공간 분화와 공존의 역설
5. 나오며

제2장 1920년대 ‘도시교향곡 영화’에 나타난 기술 유토피아의 표상
1. 들어가며
2. 영화 예술의 기계-기술적 요소와 도시 기록물의 유행
3. 도시화의 진전과 기계-기술의 이미지화
4. 도시 공간의 기계화, 그리고 기술 낙관주의
5. 복원된 유토피아: 기계의 일상화 혹은 탈기술주의의 반영
6. 나오며

제3장 1930년대 소련영화에 투영된 사회주의적 기술 낙원의 상(像
1. 들어가며
2. 1930년대 소련영화의 제작 경향과 시대적 배경, 그리고 테크놀로지
3. 창조된 영웅들: 기술 능력의 강조와 능률의 중시
4. 유기적 조직체: 기계와 인간, 여성과 남성, 개인과 집단의 조화
5. ‘테크놀로지 유토피아’의 허와 실: ‘사회주의 낙원’을 둘러싼 이상과 현실의 괴리
6. 나오며

제4장 1950년대 일본영화 속 핵무기의 기술 표상과 시대적 함의
1. 들어가며
2. ‘비극’의 역사화: 피폭 참상의 가시성과 테크놀로지의 불가시성
3. 원폭에서 수폭으로: ‘방사능 괴물’의 출현과 디스토피아적 현실상
4. 나오며: 이미지 기술(記述/技術과 반전(反戰/反轉 메시지의 시대성

제5장 1980년대 미국영화 속 타임머신의 출현과 시간 이동의 체험, 그 낙관주의적 상상력
1. 들어가며
2. 타임머신의 존재성과 서사, 주제, 시공간의 설정 방식
3. 시간 이동의 과정, 그리고 난관과 위험성
4. 테크놀로지에 대한 유토피아적 이상: 아메리카니즘의 발현
5. 나오며

제6장 동시기 영화에 반영된 테크놀로지와 인간, 그리고 통제의 문제
1. 들어가며: 테크놀로지 사회와 공존·통제의 양상, 그리고 영화
2. 편재하는 카메라 렌즈와 통제적 감시의 일상화
3. 감시의 시선, 영화의 시점, 테크놀로지
4. ‘디지털 파놉티콘’의
이 책은 과학 기술의 발전과 그 발전에 따른 인간 세계의 변화를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살펴본 도서이다.

20세기를 가히 ‘영화의 시대’로 일컬을 수 있을 만큼 영화사 초기에서 현재에 이르는 약 120~30년 동안 영화의 정치적, 예술적, 산업적 영향력은 매우 컸다. 그러면서 영화 속에는 인간과 사회의 여러 면면들이 다양하게 담겨졌다. 이중에는 기술의 발달 과정에 따른 사람들의 생활상과 세계관(의 변화을 직간접적으로 드러내는 경우도 적지 않았던 바, 특히 이러한 작품들을 주목해 볼 필요가 있다.
이 책에서는 이제껏 대단히 위력적인 대중 영상 매체로 자리해 온 영화 속에 과학 기술의 발전도와 인간 세계의 변화상이 어떻게 그려졌는지에 관한 거시적이고도 심층적인 탐구를 시도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영화 작품론, 감독론, 장르론, 영화사 등을 아우르며 개인과 집단, 공존과 통제, 낙관론과 비관론을 넘나드는 테크놀로지를 둘러싼 양가적 문제들에 관한 보다 폭 넓고도 심도 깊은 고찰을 추구하였다.

이 책은 총 6장으로 구성되었으며, 목차 배열은 각 장 내 시대적 배경의 시간대 순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서유럽, 미주, 동유럽, 동북아시아 등 주요 문화권이 공간적 배경으로 설정되어 있다. 아울러, 내러티브(극영화/다큐멘터리(기록영화/아방가르드(실험영화 영화, 정치적/예술적/상업적 성격의 영화, 장편영화/단편영화, 장르영화/독립영화 등이 포괄적으로 거론되고 있다.
제1장에서는 1890년대부터 1900년대까지 세계 여러 나라의 ‘초기 영화’들이, 제2장에서는 1920년대 미국과 유럽 각국의 이른바 ‘도시 교향곡 영화’들이, 제3장에서는 1930년대 소련에서 만들어진 뮤지컬 양식의 ‘사회주의 리얼리즘 영화’들이 분석 및 해석의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이어서 제4장에서는 핵 문제를 모티브로 삼은 두 갈래의 1950년대 일본의 ‘원폭 영화’들이, 제5장에서는 타임머신을 소재화한 1980년대 미국의 ‘SF 영화’ 시리즈가, 제6장에서는 2010년대 한국영화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