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자유로운 선과 치유의 세계 : 무문관 공안으로 보는 (양장
저자 무각
출판사 담앤북스
출판일 2022-02-18
정가 23,000원
ISBN 9791162013489
수량
감사의 글 _4

Ⅰ. 서문 _13
1. 연구 목적 _14
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_17

Ⅱ. 무문관無門關의 의의意義 _21
1.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의 특징特徵 _24
1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 행장行狀 _24
2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 _25
3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 화두話頭의 네 가지 유형類型 _27
2. 『무문관無門關』의 현대적現代的 의미意味 _30
1 『무문관無門關』의 세 가지 입장立場 _30
2 무자공안無字公案의 선종사적禪宗史的 배경背景 및 탁월성卓越性 _31
(1 조주무자공안趙州無字公案의 탄생誕生 배경背景 _31
3. 『무문관無門關』의 현대적現代的 의의意義 _39

Ⅲ.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의 간병론揀病論 _41
1. 화두병통話頭病痛의 분류分類 _51
1 대혜大慧의 간화看話 병통病痛 _51
2 몽산蒙山의 무자십절목無字十節目 _52
2. 무문혜개無門慧開선사의 「선잠禪箴」 _59

Ⅳ. 「선잠禪箴」을 통해 본 공안집公案集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病痛과 치유治癒의 예 _63
1.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과 치유 및 공안의 분류 _64
2.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 및 치유의 예 _71
1 순규수구循規守矩 무승자박無繩自縛의 병통 및 치유 _71
(1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의 예 _71
2 종횡무애縱橫無?외도마군外道魔軍의 병통 및 치유 _81
(1 제7칙 조주세발趙州洗鉢의 예 _81 (2 제16칙 종성칠조鐘聲七條의 예 _84
3 존심징적存心澄寂 묵조사선?照邪禪의 병통 및 치유 _89
(1 제5칙 향엄상수香嚴上樹의 예 _89 (2 제19칙 평상시도平常是道의 예 _94
(3 제24칙 이각어언離却語言의 예 _98 (4 제41칙 달마안심達磨安心의 예 _112
4 자의망연恣意忘緣 타락심갱墮落深坑의 병통 및 치유
<책속에서>
공안집 『무문관無門關』에 나타난 병통 및 치유의 예

1 순규수구循規守矩 무승자박無繩自縛의 병통 및 치유

『무문관』 「선잠」의 첫 번째 병통은 ‘순규수구 무승자박의 병통’으로 “규칙에만 집착하여 좌선만을 유지하는 것은 끈 없는 속박이다.”라는 것이다.
그 예로 다음의 『무문관』 제13칙 「덕산탁발」을 들 수 있다.

(1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의 예

첫 번째 ‘순규수구 무승자박의 병통’으로 이 병통 및 치유의 예로는 『무문관』 제13칙 「덕산탁발」을 보기 전에 덕산선감선사에 대해 잠시 살펴보도록 하겠다.
『무문관』 제13칙 「덕산탁발」에 등장하는 덕산선감(德山宣鑑: 782∼ 865선사는 육조혜능선사를 이은 청원행사(靑原行思: ?∼740와 석두희천(石頭希遷: 700∼791 그리고 용담숭신(龍潭崇信: ?~? 의 법맥法脈을 이은 분이다.
덕산선감선사는 『금강경金剛經』에 통달하여 성이 주周씨라 별명을 주금강이라고 했을 정도로 『금강경』에 달통한 분이다. 덕산선사로서는 경전에도 매이지 않은 용담숭신선사를 혼내주려고 가다가 절에 도착하기도 전에 그만 그 밑에서 호떡장사를 하는 노파에게 말문이 막혀 버리고 말아서 후일에 용담숭신선사의 제자가 된 일화가 있다. …….

제13칙 덕산탁발德山托鉢

本則
德山덕산이 一日일일에 托鉢下堂탁발하당이라가 見雪峰問견설봉문하되 者老漢자로한이 鐘未鳴종미명하고 鼓未響고미향이어늘 托鉢向甚處去탁발향심처거니고 山산이 便回方변회방丈장하다 峰봉이 ?似巖頭거사암두한대 頭云두운하되 大小德山대소덕산이여 未會末미회말 …….


評唱
無門曰무문왈 若是末後句약시말후구인댄 巖頭암두와 德山덕산이 俱未夢見在구미몽견재라 檢검點將來점장래하니 好似一棚傀儡호사일붕괴뢰로다. …….

● 頌曰
識得最初句식득최초구하면 便會末後句변회말후구라 末後與最初말후여최초가 不是者一불시자일 句구리라. …….

○ 解釋
하루는 덕산선사께서 발우를 들고 공양당으로 내려갔다. 설봉선사가 이를 보고 말했다. “노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