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사의 말 ? 4
Ⅰ부. 서문
Ⅱ부. 서구 근대의 사회변동과 사회학의 탄생·발전
1장. 공동체에서 사회로 ? 25
1. 사회의 발생(Vergesellschaftung ? 25
2. 개인화(Individualisierung ? 28
2장. ‘사회=국민국가 정치체’의 동일시 ? 34
1. 국가(민족 공동체의 발명 ? 34
2. 개인화와 핵가족화, 계급화 ? 37
3장. 국민국가 정치공동체에서 위험공동체로 ? 42
1. 탈바꿈: 산업사회에서 위험사회로, 국가공동체에서 위험공동체로 ? 42
2. 제2의 개인화: 탈표준가족화, 탈계급화 ? 46
Ⅲ부. 한국의 사회변동과 문화변동
1장. 이론적 논의 ? 53
1. 한국의 사회변동: 압축적 개인화 ? 53
1 유교 가족주의로부터의 개인화: 가족 관련 행태 변화를 중심으로 ? 59
2 공론장의 구조변동: 유교 공론장에서 시민 공론장으로 ? 107
2. 사회운동의 변화를 통해 본 한국의 문화변동: 2016~2017년의 ‘촛불혁명’을 중심으로 ? 135
1 사회운동의 ‘개인화’에 대한 논의 ? 135
2 서구 사회운동과의 비교 ? 136
3 청(소년 문화의 새로운 특성 ? 150
4 디지털매체의 중요성 ? 154
2장. 경험적 논의: 촛불혁명, 미투운동, 페미니즘 재부상에서 드러나는 문화변동을 중심으로 ? 165
1. ‘촛불혁명’과 미투운동 ? 171
1 세대 간 문화적 이질성: ‘촛불혁명’을 중심으로 ? 172
2 문화변동의 성별·세대별 이질성: 촛불혁명, 미투운동을 중심으로 ? 182
2. 20~30대 청년층의 젠더정치 ? 201
1 성별 문화적 이질성 ? 205
2 청년남성 내부의 젠더 관련 문화적 이질성: 관련 변수들에 대한 추정 ? 217
3. 세대 불평등과 성불평등의 교차성 또는 간섭의 현상 ? 221
4. 복잡한 불평등의 단순화로서 ‘젠더갈등’ 프레임 ? 232
Ⅳ부.
시민 공론장의 출현에서 촛불혁명까지,
우리나라 젠더갈등의 근원부터 되돌아보는
사회학 연구의 최종보고서
저자는 벡의 개인화 이론에 기대어, 서구와는 다른 고유한 방식의 ‘압축적 개인화’가 한국에서 진행되고 있다고 본다. 따라서 이 책에서도 신자유주의적 불평등 의제보다 문화변동과 정치변동―사회운동의 문화변동이라는 의미에서―에 초점을 둔다. 계급연대가 약화하고 개인화가 강화되는 상황에서, 불평등의 문제는 사회경제적 양극화뿐만 아니라 세대별, 성별 ‘차이들’, 즉 문화변동의 문제로도 연결된다. 즉 ‘차이’의 문제는 단순한 문화적 다양성의 문제만이 아니라 불평등과도 관련된 것이다. 따라서 이 책에서는 ‘압축적 개인화’의 사회변동, 문화변동의 문제를 세대별, 성별 ‘차이’의 문제와 연관해서 다룬다.
Ⅰ부 서론에 이은 이 책의 Ⅱ부에서는 서구 근대의 사회변동 및 사회학의 태동에 대해 개괄적으로 설명한다. 근대 사회학자 중에서 게오르크 지멜을 중심으로 논의하며 뒤르켐, 베버, 마르크스와의 비교 역시 소략하게 진행한다. Ⅲ부는 이 책의 본론에 해당한다. 우선 1장은 이론적 논의이다. 여기서는 한국의 ‘사회변동’ 관점에서 ‘압축적 개인화’의 테제를 제시한다. 더불어 먼저 사생활의 행태 변화를 중심으로, 그리고 이어서 공공성의 변화를 중심으로 ‘압축적 개인화’에 대해 이론적으로 논의한다. 공공성의 변화에 대해서는 공론장의 변화와 사회운동의 변화로 나누어 논의를 진행한다.
Ⅱ부와 Ⅲ부 1장이 모두 이론적 논의였다면, Ⅲ부 2장에서는 저자가 참여한 경험연구 결과를 통해 사회운동 속의 문화변동 양상 및 그것과 사회변동(압축적 개인화의 관계를 설명한다. 여기서 사용한 저자의 경험연구 자료는 두 가지이다. 하나는 사회운동의 개인화를 명백히 드러낸 ‘촛불혁명’과 그것이 젠더정치 형태인 ‘미투운동’으로 연결되는 과정에 관한 조사연구의 결과이다. 그리고 다른 하나는 ‘미투운동’ 이후 소위 ‘혜화역 시위’ 형태로 청년여성의 정치세력화가 활발해지면서 점점 첨예해진 청년세대의 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