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장 한국의 선택
1. 발상의 전환: 6자 상호확증파괴의 균형
2. 안보 독립: 한국의 독자적 핵무장은 가능한가?
3. 우호적 핵확산: 미국을 어떻게 설득할 것인가?
제2장 핵무기의 등장
4. 1945년 8월 6일 히로시마
5. 트루먼의 결단
6. 원자폭탄의 완성
제3장 동북아시아의 핵확산
7. 2018년 1월 1일 평양
8. 잠재적 핵강대국 일본의 핵개발 역사
9. 한국과 일본의 고민: 핵무장 가능성
제4장 사실상(de facto 핵무기국
10. 프랑스와의 연대: 이스라엘의 핵개발
11. 평화적 핵폭발로 위장한 핵개발: 인도
12. 초근목피로 개발한 핵무기: 파키스탄
제5장 핵위기의 무력적 해결
13. 단호한 핵정책, 베긴 독트린: 오시라크 원자로 공습
14. 북한의 분노: 알 키바르 원자로 폭격
15. 제한적 선제타격: 예방적 자위권의 행사
제6장 핵위기의 정치적·외교적 해결
16. 카스트로의 망상: 쿠바 미사일 위기
17. 마지막 백인 대통령의 결단: 남아프리카공화국의 핵폐기
18. 비극으로 끝난 혁명아의 야망: 리비아의 비핵화
제7장 이란의 핵개발과 북한의 비핵화
19. 이란 핵개발의 배경과 경과: 문명의 충돌
20. 국제사회의 압력과 이스라엘의 개입
21. 국제법적 쟁점과 북핵 문제에 대한 함의
제8장 국제법과 국제정치의 교차, 핵무기에 대한 규제
22. 핵무기의 사용은 정말 필요한가?
23. 핵무기 사용에 대한 법적 규제
24. 비핵지대조약과 한반도의 비핵화
에필로그
주요 인물 약력 / 핵개발 및 비핵화 관련 연표
참고자료 / 참고문헌 / 주 / 사진자료 목록 / 찾아보기
거시적 시각으로 북핵 위기의 향방을 가늠해볼 수 있는 핵확산의 역사에 대한 책!
비핵화와 핵확산의 갈림길에 선 한반도의 운명을 예측해볼 수 있는 작업!
만약 북한이 핵개발을 포기하고 미국이 모든 제재를 해제한다는 데 합의가 된다 하더라도, 그 과정이 그리 쉽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핵무기의 해체와 반출, 우라늄 농축 시설의 해체, 핵실험장의 폐쇄, 생화학무기와 미사일의 폐기 및 관련 시설의 해체, 검증과 사찰 등 미국이 생각하는 북한 비핵화의 과정은 적어도 10년 이상은 걸릴 것이다. 북한의 핵개발 능력은 리비아, 이란, 시리아, 이라크, 남아프리카공화국과는 차원이 다를 정도로 뛰어나다.
혹시라도 북핵 문제가 평화적으로 해결되지 않으면, 우리가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은 미국의 ‘확장억지’에 계속 기대거나 독자적 ‘핵억지력’을 강화하는 것 두 가지뿐이다. 독자적 ‘핵억지력’은 전술핵 무기의 재배치, 나토식 핵공유 방식의 도입, 그리고 핵무장의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런데 ‘확장억지’는 미국의 의사에 전적으로 의지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언제까지나 미국의 핵우산에 들어가 있어야 하는지도 문제가 된다. 한국의 ‘핵억지력’도 미국이 동의해야 실질적으로 강화될 수 있다.
북한으로서는 단계적 또는 부분적 비핵화와 제재의 완화를 교환하는 것이 가장 유리한 시나리오일 것이다. 그러나 그런 합의는 완전한 비핵화와 거리가 멀고, 북한에 시간적 여유만 주게 될 가능성이 높다. 그럴 경우, 북한은 인도나 파키스탄처럼 ‘사실상 핵무기국’이 될 수 있다. ‘사실상 핵무기국’이 된다는 것은, 국제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하더라도, ‘실질적인 핵보유국’ 내지 ‘비공인 핵무장국’이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어떤 방식이든, 한국의 대북 정책은 독자적으로 추진하기가 쉽지 않다. 다만 일본이라는 변수를 활용할 수 있으면, 미국을 설득하는 것이 불가능하지는 않을 것이다. 핵무기로 패전한 일본은 핵무장에 대해 겉으로는 엄격하다. 그러나 미국은 일본의 핵무장 가능성에 대해 관대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