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리터러시의 진화 : 비판적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실 수업 방법 - 사회평론 교육총서 6
저자 재닛 에번스
출판사 사회평론아카데미
출판일 2022-03-14
정가 23,000원
ISBN 9791167070388
수량
감사의 글
서문
옮긴이의 글
어린이들의 목소리에 귀 기울이기
서론: 21세기에 필요한 리터러시의 본질 변화

I ‘새로운’ 리터러시와 어린이들이 이를 활용하는 방식

1장 복합양식 텍스트
들어가며 | 양식, 미디어, 행동유도성 | 복합양식 텍스트의 의미 구성 | 다양한 양식을 통한 글쓰기 | 결론 | 교육 활동에 대한 시사점

2장 영상물에 담긴 이야기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변화하는 세계’에서 요구되는리 터러시 | 미디어 교육 | 사례 연구의 맥락 | 이야기 만들기 | 결론 | 교육 활동에 대한 시사점

3장 어린이들의 이야기 읽기와 해석
들어가며 | 이야기 해석의 관습 | 새로운 스토리텔링 형식에 기존의 읽기 관습 적용하기 | 몰입과 관여 | 바쁜 현대 사회의 읽기 | 청소년들과 그들이 좋아하는 픽션의 관계 | 교육 활동에 대한 시사점

4장 운명의 단검과 만능 핸드백
들어가며 | 정체성과 글쓰기 | 연구의 개요 | 독자에게 자신을 소개하기/독자에 대해 알기 | 시작하기/끝맺기 | 운명의 단검과 만능 핸드백 | 논의 거리 | 교육 활동에 대한 시사점

II 비판적인 눈으로 텍스트 살펴보기

5장 유아들에게 비판적 리터러시를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
일상생활의 쟁점과 텍스트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구성하기 | 일상적 텍스트란 무엇인가 | 일상 세계와 교실 내 공식적 교육과정 간의 연관성과 어긋남 | 공식적 교육과정과 마일스의 비공식적 리터러시 간의 연관성 | 마일스의 언어 선택을 면밀히 들여다보기 | 마일스의 이야기는 비판적 리터러시 및 새로운 시대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 | 장난감 포장지를 활용하여 비판적 언어 인식을 갖도록 하기 | 어린이들의 성 정체성 구성 | 다시 설계하기: 비판적 리터러시의 중요한 요소 | 광고의 시각적 문법 해석 | ‘요구’와 ‘제공’의 개념 | 결론 | 교육 활동에 대한 시사점

6장 비니 베이비 인형을 리터러시 발달을 위한 교육의 소재로 삼을 수 있을까?
들어가며 | 장난감의 브랜드화
숨 쉬듯이 디지털 기술을 접하는 뉴미디어 시대,
인쇄 텍스트 읽기를 넘어선 복합적 리터러시가 필요하다

이 책은 어린이들이 디지털 미디어를 이용하며 경험하는 소통 행위를 ‘새로운 리터러시(new literacies’의 양상으로 바라본다.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발달에 따른 새로운 소통 현상은 리터러시의 개념과 실천의 변화로 나타나고 있다. 인터넷이 없는 세상에서 살아 본 적이 없는 오늘날의 어린이와 청소년들은 문자만이 가득한 ‘지면(page’이 아니라, 다양한 이미지, 음악, 동영상 등이 함께 어우러져 표현되는 디지털 기기의 ‘화면(screen’ 공간에서 의미를 읽고 쓰는 데 익숙하다.
자신들이 갖고 놀던 장난감과 웹캠을 이용해 동영상을 촬영하고 편집하는 네 살배기 어린이들의 사례, 컴퓨터 게임이라는 새로운 스토리텔링 형식에 몰입하고 반응하는 청소년들의 사례, 화면상에서 이루어지는 이메일 쓰기를 통해 다층적인 정체성 표현을 시도하는 어린이들의 사례 등은 이용자들이 쉽게 의미 생산자로서 참여할 수 있는 뉴미디어 환경에서 새로운 방식의 리터러시가 생겨났다는 점과 더불어,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이러한 새로운 리터러시에 얼마나 익숙한지를 생생하게 보여 준다.

어린이들의 관심사와 학교 교육과정을 접목한
의미 있는 리터러시 교육 만들기

리터러시가 변화하고 있음에도 아직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은 어린이들이 일상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소통 방식, 그리고 이를 통해 공유되는 미디어 문화를 간과하고 있다. 미디어를 단순히 문자와 인쇄물 중심의 전통적 리터러시 학습에 대한 동기 유발 자료로 활용하는 데 그치는 경우가 많은 것이다.
이 책의 저자들은 이러한 상황을 해결해야 할 ‘문제’로 바라본다. 그러면서 무엇보다도 어린이와 청소년들의 학교 밖 관심사에 주목해야 하며, 그들이 경험하고 있는 다양한 미디어를 인정하는 태도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어린이들의 관심사인 디지털 미디어와 대중문화를 공식적인 리터러시 교육을 위한 의미 있는 자원으로 인정하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