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비교정치의 진화와 방법론 1
제1절?비교정치의 의의 1
제2절?비교정치의 역사와 연구방법 3
제3절?비교정치의 방법론 12
제4절?비교정치의 발전방향_21
제2장 정치이념 23
제1절?정치이념의 주요 쟁점 24
제2절?고전적 자유주의(Classical Liberalism 37
제3절?급진주의(Radicalism 44
제4절?보수주의(Conservatism 53
제5절?현대적 자유주의(Modern Liberalism 59
제6절?사상적 논의의 의의 69
제3장 국가론 71
제1절?국가에 대한 일반적 논의 72
제2절?체계론적·구조기능론적 접근 77
제3절?계급주의 국가론 86
제4절?다원주의 국가론 94
제5절?국가론의 의의 106
제4장 정치문화 107
제1절?정치문화 연구의 기원과 방법적 특성 109
제2절?시민문화 연구 126
제3절?정치사회화를 통한 정치과정 연구 135
제4절?정치적 관습과 상징주의 142
제5절?정치문화론의 한계와 의의 146
제5장 합리적 선택 149
제1절?합리적 선택 이론의 발전 151
제2절?합리성의 개념 156
제3절?합리적 선택의 모형과 방법론 157
제4절?합리적 선택 이론의 여러 형태 171
제5절?합리적 선택 이론의 한계와 전망 179
제6장 정치제도 182
제1절?제도주의 이론의 발전과정 183
제2절?구제도주의와 신제도주의 비교 185
제3절?신제도주의 이론 188
제4절?신제도주의 이론의 가능성 216
제7장 정치구조 218
제1절?민주주의 219
제2절?행정부 243
제3절?입법부 256
제4절?사법부 268
제5절?정치구조와 정치발전 275
제8장 정당과 선거 276
제1절?정당 277
제2절?선거 294
제3절?투표행태 302
제4절?여론조
제3판 서문
민주주의를 어떻게 배우고, 어떻게 이해하고 있을까. 한국적인 상황에 맞는 정치 이론서가 필요하지 않을까 하는 마음으로 시작한 책이 3판을 찍게 되었다. 우리는 어려서부터 민주주의를 배웠고, 민주주의 제도에 살고 있으면서도 민주주의가 어떤 의미와 논의 속에서 탄생한 이론인지를 잘 알지는 못한다. 정치를 전공으로 하는 대학생들조차 민주주의는 자신이 체험한 경험을 전부라고 생각하기도 한다.
민주주의는 인류의 출발과 함께 시작되었다. 민주주의라는 이름으로 불리지는 않았지만 많은 과정을 거치면서 발전해 온 오랜 역사가 있다. 오늘날 민주주의 제도는 인류의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이 녹아 있는 결정체라고 할 수 있다. 정치는 권력을 향한 투쟁이 아니라 합리적인 분배와 정의의 실현이다. 오늘날 많은 나라가 민주주의를 채택하거나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것은 지난 역사의 경험과 철학이 민주주의 제도 안에 담겨있기 때문이다. 정치가 어떤 과정과 논의를 거쳐 민주주의라는 제도에 이르게 되었는지에 대한 이론과 배경은 정치 발전을 위한 필수적인 과정의 하나이다.
이 책은 정치학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개념과 이해를 통해 자본주의 경제구조에서 민주주의 가치를 제고하고자 기획하였다. 정치학을 전공하는 대학생은 물론 교양서로서도 다양한 정치 이론을 섭렵할 수 있도록 하였다. 초판을 발행한 이후 재판을 통해 부족한 부분을 채우고, 모자란 부분을 메웠다. 이 과정에서 교실에서 학생들과 토론했던 경험이 큰 도움이 되었다. 구체적인 지점에서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하고, 어떤 점을 더 설명해야 하는지를 알 수 있었다. 가르치고 배우면서 함께 성장한다는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체감하였다.
개정판에 이어서 세 번째 판을 내게 된 것은 변화한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서이다. 정치는 생물이라는 말이 있다. 정치는 끊임없이 변화하면서 새로운 정치 지형을 만들어 낸다. 새로운 정치 지형은 새로운 정치 현상으로 나타난다. 한국의 정치는 물론이고, 정치선진국인 유럽이나 미국, 아프리카에 이르기까지 정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