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며
1부 알고도 쓰고, 모르고도 쓰는 장애 혐오 표현
1장 장애인은 불쌍해
동정과 혐오는 한 끗 차이 / 장애인이 왜 불쌍해? / 온정주의는 사실 경멸하는 태도 / 불쌍해서 베푸는 마음은 공감이 아니라 우월감 / 자선을 위해 소비되는 고통과 비극 - 수급자다움, 장애인다움?
* 보완 대체 의사소통(AAC
2장 몸도 불편한데 왜 돌아다녀?
위험하다고 태워 주지 않던 버스 / 장애인도 출근합니다 / 존재하지만 보이지 않는 사람들 / 혐오표현을 어떻게 처벌할까?
3장 장애인이 무서워요
모르면 무섭다 / 그리 위험하지는 않지만 혹시 위험할지도 모르니 / 사람들을 놀라게 하는 차이 / 우리가 아니라 ‘그들’이어서 무섭다 / 혐오하는 당신이 더 무섭다
* 발달 장애
4장 장애인은 모자란 사람
경쟁과는 거리가 먼 사람이라서? / 영구, 맹구, 그리고 동네 바보 형 / 웃자고 한 짓이라고? / 정치인의 장애 비하 발언 / 하나도 웃기지 않습니다
* 장애 관련 왜곡된 표현
2부 대놓고 하는 장애 혐오 표현
1장 장애인은 안 된다
왜 비장애인과 결혼할 수 없는지? / 더 독한 가상현실 속 익명의 분노 / 장애인은 제
외해야 한다는 뜻
2장 장애인은 더럽다
사람이 더럽나, 개가 더럽나, 똥이 더럽나 / 장애는 전염되지 않는다 / 장애를 전시하려는 사람들
3장 장애인은 죽는 게 낫다
태어날 권리를 빼앗기는 장애인들 / 어머니, 우리를 죽이지 마세요 / 우리 안의 괴물
4장 누가 장애인에게 성욕을 느끼겠나?
성폭력도 감지덕지하라고? / 추녀, 세상이 만들어 낸 장애 / 편견이 오해를 만났을 때
3부 숨어 있는 장애 혐오 표현
1장 미친 존재감
칭찬인 듯 칭찬 아닌 / 욕할 때마다 들먹이는 정신장애 / 장애인을 배제하려는 무의식
* 정신장애
2장 장애를 극복한 영웅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는 선의, 그러나 잘못된 강요 / 성공한 장애인에게만 보내는 찬사 / 장애는 온 사회가
|장애 인권 문해력, 어떻게 키울까?|
김효진 작가의 어머니는 소풍날마다 이렇게 물었다. “넌 집에 있는 게 낫지?” 소풍에 가고 싶었지만 다리가 불편한 자신이 선생님이나 친구들에게 짐이 될까 순순히 포기했다. 운동회도 수학여행도 그랬다. 미안해서 포기했다. 가만히 있는 것을 좋아하는 아이로 살고, 해 보고 싶은 것을 참기만 하는 것이 미덕인 줄 알고 살았다. 그러나 아니었다. 강요받은 침묵은 어른이 된 뒤에도 자신의 권리를 제대로 누리지 못하게 만들었다. 그래서 가만히 있지 않기로 결정했다. 장애인이라서 할 수 없다고 생각했던 많은 것들을, 개인의 노력으로 ‘극복’해야 한다고 믿었던 많은 것들을, 구조적으로 가능하게 만드는 사회가 진짜 좋은 사회란 것을 알게 됐다. 인권 운동가가 되어 만나는 세상은 새로웠다. 다른 세상을 꿈꾸기 시작하자 할 일이 많아졌다. 장애와 비장애를 나누고 서로 배타적으로 대하거나 차별하고 혐오하는 비장애인을 몰아붙여 등 돌리게 하는 방식으로는 좋은 결론이 나올 수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의 인권 문해력을 키워야겠다고 마음먹었다. 내일 우리는 지금과 다르게 생각하고, 다르게 행동하는 사람으로 성장할 수 있을 거라 믿고 움직이기 시작했다.
장애인은 누군가의 도움 없이는 살아갈 수 없는 존재지만, 누군가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해서 비장애인보다 열등한 존재인 것은 아니다. 아기가 어른의 도움 없이 혼자 설 수 없지만 열등하다고 믿지 않는 것과 같다. 사람이 사람답다는 것은 능력으로만 판단되는 문제가 아니다. 도움이 필요하다 해서 살아갈 가치가 덜하거나 없는 것은 더욱 아니다. 장애는 극복해야 할 것이 아니라, 그저 장애를 갖고 살아가는 것뿐이다. 이 책을 읽는 사람들 모두가 이것 한 가지만 알아주어도 좋겠다.
|우리에게는 다른 언어가 필요하다|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등록 장애인은 261만 8000명이다. 전체 인구 대비 5.1퍼센트에 이른다. 스무 명 중 한 명이 장애인이다. 이 정도 숫자라면 어디에서나 장애인이 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