편찬의 글
1장 | 조계종법이란 무엇인가
1 종단과 법 2 법에 관한 극단적 견해 3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
4 조계종법의 체계 1 종헌 | 2 종법 | 3 종령 | 4 규칙
5 조계종법 규범의 내용별 종류 6 조계종법과 계율
7 조계종법의 해석 1 유권해석 | 2 학리해석
2장 | 종헌의 이해
1 종헌의 개념 2 종헌의 특성 3 종헌의 구조
4 종헌 전문을 통해 보는 종헌 정신
1 통불교정신 | 2 대승불교정신 | 3 선불교 정신 | 4 파사현정의 정신
5 종헌을 통해 보는 종단의 총체적 이해
1 종지 | 2 소의경전 | 3 본존불 | 4 종조와 중흥조 | 5 사부대중
6 승려 | 7 미등록 사설사암과 법인의 권리자에 대한 제한 | 8 신도
9 의식 | 10 계단 | 11 종무원
3장 | 중앙종무기관(中央宗務機關
1 종정(宗正 2 원로회의
3 중앙종회 1 의회주의 | 2 입법권 | 3 중앙종회의 구성과 조직 |
4 중앙종회의 운영과 의사 절차 | 5 중앙종회의 권한 |
6 중앙종회 의원의 지위와 특권
4 총무원 1 총무원장 | 2 종무회의 | 3 총무원 각 부서
5 교육원 1 교육원장 | 2 교육부의 업무 | 3 불학연구소의 업무 | 4 종단의 교육 체계
6 포교원 1 포교원장 | 2 포교부 | 3 포교연구실
7 호계원 1 호계원의 지위 | 2 사법의 독립성 | 3 징계 심판의 원리 |
4 행정 심판의 원리 | 5 심판 절차의 기본 원칙 | 6 심판 절차
8 법규위원회 1 위헌 종법 및 위법 종령 심판 | 2 권한 쟁의 심판
4장 | 재정과 회계
1 재정의 원칙 2 예산 1 예산의 원칙 | 2 예산 편성 절차 | 3 분담금
3 회계 1 회계의 구분 | 2 수입 지출
조계종의 반석, ‘조계종법’을 바르게 이해하다.
《조계종법의 이해》는 대한불교조계종단의 기틀인 조계종법을 일목요연하게 해설한 지침서다.
조계종법은 1994년 개혁불사 때, 현대 사회에 맞도록 제정되었다.
현실적으로 조계종도들에게 직접 영향을 끼치는 핵심임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조계종법에 관한 제대로 된 이해서가 없었고, 전문적인 학습 또한 이뤄지지 않았다.
이러한 실정에서 발간된 《조계종법의 이해》는 조계종법을 바르게 이해하고 실천하는 길라잡이로, 종단의 스님은 물론 종단의 교육기관에서 교재로 사용하여 이 시대에 맞는 율사를 양성하는 역할을 해낼 것이다. 나아가 승가질서 확립과 사찰 및 교단 운영, 그리고 외부 사회와 원만하게 관계를 유지하기 위한 지침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실천하고 널리 전하는 데 중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1. 조계종법의 제정
조계종단의 종헌 종법은 1994년 종단 개혁 불사 때 정비, 제정되었다. 당시 1990년대 초반, 조계종은 개혁불사의 열기로 뜨거웠다. 많은 스님들이 고심하며 종단의 바람직한 미래를 위해 종책을 마련하고 종단 운영에 민주적 제도와 절차에 대해 토론했다. 그렇게 논의된 종책과 종단 운영 방안을 종헌 종법으로 정리한 것이 오늘의 ‘조계종법’이다.
2. 조계종법의 내용
조계종법은 궁극적으로 부처님의 계율을 토대로 제정되었다. 부처님께서는 계율을 정하는 열 가지 의미 가운데 하나로 교단을 반석 위에 올려 오래 유지되도록 하기 위해서라고 설하셨다. 계율은 불교의 실천수행으로서 가장 기본이기도 하다. 그러나 종단의 각종 기관 기구를 조직하고 운영하며 규범 위반 행위를 규제하고 심판하기에 계율만으로는 부족하다.
조계종법에는 조계종단의 이념과 조직, 각종 기관 기구의 조직과 역할뿐만 아니라 율장에서 정한 행위 규범 가운데 법령으로 다룰 만한 부분을 거의 반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