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쓰면서
서론
CHAPTER 1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체계와 국제정치 이론
1. 미국의 국가안보전략 체계
(1 국가안보전략과 국방·군사전략
(2 미국의 국방전략 문서
2.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
(1 미어샤이머의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
(2 월츠의 ‘방어적 현실주의’와 비교
(3 공격적 현실주의 이론의 탈냉전기 동북아 국제체제 적용
3. 동맹이론
(1 동맹의 정의와 유형
(2 동맹의 형성 동기
(3 ‘자율성-안보 교환’의 동맹 모델
(4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의 성격
(5 ‘자율성-안보 교환’ 모델의 탈냉전기 한미동맹과 미일동맹 적용
CHAPTER 2 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과 주한·주일미군의 역할
1. 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
(1 1950년대 : 트루먼 독트린, 뉴룩 전략 및 대량보복전략
(2 1960년대 : 유연대응전략과 상호확증파괴
(3 1970년대 : 닉슨 독트린과 베트남화 전략, 카터 독트린
(4 1980년대 : 롤백 전략(레이건 독트린
2. 냉전기 주한미군의 역할
(1 주한미군 병력 규모의 변화
(2 한미 연합연습 및 훈련
(3 주한미군의 역할
3. 냉전기 주일미군의 역할
(1 주일미군 병력 규모의 변화
(2 미일 연합연습 및 훈련
(3 주일미군의 역할
4. 냉전기 주한·주일미군의 역할 비교 및 상관관계
(1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비교
(2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상관관계
CHAPTER 3 탈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과 주한·주일미군의 역할
1. 탈냉전기 미국의 국방전략
(1 조지 H. W. 부시 행정부
(2 클린턴 행정부
(3 조지 W. 부시 행정부
(4 오바마 행정부
(5 트럼프·바이든 행정부
2. 탈냉전기 주한미군의 역할
(1 한국의 안보 자율성 확대 노력
(2 동북아 작전적 기동군으로서의 주한미군
주한미군 병력 규모 및 전력의 변화
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 확보
주한미군 참가 연합연습 및 훈련의 확대
주한미군의 역할
3. 탈냉전기 주일미군의 역할
냉전기·탈냉전기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을 조명하고,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의 핵심인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과 상관관계를 분석한 책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지난 70여 년 동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보장하는 핵심축이었다. 그러나 현재 한미동맹과 미일동맹은 많은 도전에 직면해 있다. 동북아 안보 상황의 불안정성은 날로 심화되고 있으며, 4차 산업혁명의 첨단과학기술로 무장한 주변국의 군사력은 더욱 큰 위협과 위험요인으로 다가오고 있다. 이에 따라 미국의 군사전략과 미군의 작전수행 개념이 바뀌고 있으며, 미군의 전력 구조 또한 변화의 흐름에 직면해 있다. 동북아 안보의 첨단에 섰던 주한미군과 주일미군 역시 그 기능과 역할의 혁신적 변화를 요구받고 있다.
그 어느 때보다 안보 불확실성이 높은 시기, 대한민국이 처한 불안정한 안보 환경 속에서 대한민국의 안보를 보장하고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 우리는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는가? 그런 측면에서 냉전기·탈냉전기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을 살펴보고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의 핵심인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와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최선의 선택을 찾는 것은 우리에게 아주 중요한 일이 아닐 수 없다.
이런 시기에 시의적절하게 국방정책기획통인 임기훈 국방부 정책기획차장이 냉전기·탈냉전기 미국의 아시아 안보전략을 조명하고 그에 따른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의 역할 변화와 상관관계를 분석한 책 『주한미군 과 주일미군』을 펴냈다.
저자는 다수의 미 국가안보전략 관련 자료와 연구논문 등을 통해 획득한 실증적 논거를 토대로 이 책을 집필했다. 아울러 한미 연합군사령부에서 다양한 연합연습에 참여하고 국방부에서 수많은 한미 정책협의를 기획하고 주한미군사령부와 미 국방부·국무부의 정책 담당관들과 함께 일하면서 축적한 경험과 지식을 이 책에 담았다.
주한미군과 주일미군은 ‘동북아 안보의 균형자’이자 미국의 ‘범세계적 안보전략의 실행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냉전기에는 동북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