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련중국북한 같은 사회가 억압적이라는 점은 오늘날 많은 좌파도 인정한다.
만약 인간의 자유가 부정되고 위압적 관료가 지배해 온 이런 사회가 모종의 ‘사회주의’라면, 마르크스주의가 인간 해방의 철학이라는 명제는 의문에 부딪힐 것이다. 또는 이런 사회를 자본주의보다 더 반동적인 새로운 계급사회라고 본다면, 서방 자본주의를 ‘차악’으로 여기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만약 소련중국북한 같은 사회를 관료적 국가자본주의, 즉 자본주의의 일종으로 이해할 수 있다면, 마르크스의 계급투쟁 이론에 근거한 혁명 전략과 인류 해방 프로젝트는 가능할 뿐 아니라 필요한 것이 된다.
《마르크스주의와 국가자본주의론》은 이런 사회를 자본주의로 볼 수 있는지 논증하려는 책이다. 이를 위해 먼저 마르크스가 자본주의의 본질을 어떻게 정의했고 사유재산이나 국유화에 어떤 태도를 보였는지 살펴본다. 마르크스가 자본주의를 분석하려고 《자본론》에서 발전시킨 개념과 분석 방법(가치법칙, 임금노동, 이윤율 하락이 소련중국북한 같은 사회에도 적용되는지를 따져 본다.
우크라이나 전쟁과 격화하는 국제적 갈등을 이해하려면 필요한 이론
이 책은 국가자본주의론을 좀 더 자세히 알고 싶은 독자들이 부담 없이 접근할 수 있는 책이다. 호주의 마르크스주의 역사가인 지은이 톰 오링컨은 “국가자본주의 이론 전반을 간결하게 정리해 주면서도 심화 학습을 원하는 독자에게 적합한 글이 필요”해서 이 책을 쓰게 됐다고 밝혔다.
국가자본주의론의 중요성은 단지 이런 사회들의 성격을 파악하는 데 그치지 않는다. 오늘날 자본주의의 본질을 더 정확하고 폭넓게 파악하려면 국가자본주의론의 도움이 필수적이다. 이 책은 레닌과 부하린이 20세기 초 후기 자본주의의 특징을 분석하면서 발전시킨 국가자본주의론, 즉 국가와 자본이 융합해 제국주의적 이해관계를 발전시키는 동학에 대해서도 살펴보는데, 이는 오늘날 우크라이나 전쟁 같은 강대국 간 갈등과 충돌의 원인을 이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도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본문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