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불교와 사회윤리 : 현대사회에 부응하는 불교윤리학의 정립을 위한 제언 - 프라즈냐 총서 51
저자 차차석
출판사 운주사
출판일 2022-04-20
정가 18,000원
ISBN 9788957466896
수량
머리말·5

제1장 윤리학이란 무엇인가? 13

제2장 생명에 대한 불교의 관점 26
1. 서언·26
2. 생명불교의 이념 정립·31
3. 생명불교의 교리적 근거·46
4. 맺는말·57

제3장 『법화경』 「상불경보살품」의 인간존중사상과 그 논리적 특징 60
1. 서론·60
2. 「상불경보살품」의 핵심 내용·63
3. 「상불경보살품」의 논리적 특징·75
4. 맺는말·89

제4장 사형제도에 대한 불교 교리적 접근 92
1. 서론·92
2. 사형제도와 불교 교리적 입장·93
3. 자비 실천의 이유·104

제5장 부처님, 여성을 보다 107
1. 부처님도 여성을 천시했을까?·107
2. 폄하와 차별의 힌두 사회의 여성관·110
3. 여성이 성불할 수 없는 다섯 가지 장애 - 여인 오장설·113
4. 진리엔 남녀 차별이 없다·117
5. 부처님의 32상과 남근숭배사상·120
6. 여성은 남성의 몸 얻은 뒤에 성불 가능 - 변성성불론·123
7. 대승의 법에는 남자도 없고 여자도 없다·127

제6장 불교의 이상적 정치론과 역사적 실제 133
1. 들어가는 말·133
2. 불교의 이상정치론·134
3. 역사에 나타난 불교와 정치와의 관계·152
4. 맺는말·162

제7장 불교의 경제윤리 165
1. 세 가지 삼매의 조건 - 공·165
2. 세 가지 삼매의 조건 - 무상無相·168
3. 세 가지 삼매의 조건 - 무원無願·172
4. 자비, 종교적 실천의 핵심 중 하나·175
5. 사무량심, 이웃을 위한 한량없는 4가지 마음·178
6. 보시, 진리·평화·재물의 조건 없는 나눔·181
7. 정치와 평화, 인간 존엄성이 어떠한 가치보다 우월·184
8. 자비의 생산윤리, 재산 형성 욕망에 적절한 절제 요구·187
9. 자비의 경제윤리, 공업중생 정신 바탕, 분배에 더 비중·190
10. 불교의 상업 윤리, 부정한 화폐·수단·저울 사용 배척·193
11. 불교인의 직업윤리, 독약·무기 등
모두 10장으로 구성되어 있는 이 책의 주요 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윤리학이란 무엇인가’는 프롤로그 성격의 글로 윤리학이 무엇인가에 대해 서술한다. 제2장 ‘생명에 대한 불교의 관점’에서는 생명불교의 개념과 그 교리적 근거를 아힘사와 무연자비, 불성현양운동의 관점에서 조명한다. 제3장 ‘『법화경』 ?상불경보살품?의 인간존중사상과 그 논리적 특징’에서는 ?상불경보살품?의 핵심 내용을 통해 인권의 신장과 존중이라는 매우 현실적인 문제에 주목한다. 제4장 ‘사형제도에 대한 불교 교리적 접근’에서는 사형제도에 대한 불교 교리적 입장을 설명하면서 불교적 가치와 양립 불가능함을 역설한다. 제5장 ‘부처님, 여성을 보다’에서는 여인 오장설과 변성성불론을 소개한 뒤 대승 불법에는 남자도 없고 여자도 없다는 남녀평등사상을 강조한다. 제6장 ‘불교의 이상적 정치론과 역사적 실제’에서는 불교의 정치적 이념들이 역사 속에서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를 살펴보고, 교단의 독자성 상실로 인해 불교적 정치이상을 실현할 기회를 잃어 왔음을 반성적으로 성찰한다. 제7장 ‘불교의 경제윤리’에서는 자비, 사무량심, 보시 등 불교 교리를 토대로 인간 존엄성과 욕망 절제에 의거한 자비의 생산윤리, 상업윤리, 직업윤리, 노동관 등을 제시한다. 제8장 ‘불교사상과 전통을 통해 본 공유사회’에서는 욕망의 분출 그 자체인 현대문명에서 불교적 가치에 따른 공유사회와 그것의 현대적인 의미를 전망하고 있다. 제9장 ‘천태 성악설의 윤리성 탐구’에서는 천태의 성악설에는 중생을 제도해야 한다는 대승보살의 비원이 강하게 반영되어 있다는 사실을 밝히고 있으며, 제10장 ‘천태 불성론의 생태학적 탐색’에서는 천태의 일념삼천론을 중심으로 사상적인 구조와 그 속에 담겨진 생태학적 의미를 탐색한다.

이처럼 이 책에는 저자가 그간 학계에서 연구하고 강단에서 가르친 불교윤리의 내용들, 특히 복잡한 현대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생명윤리와 사회윤리에 초점을 둔 새로운 불교윤리학 전반을 망라하여 정리하고 있다. 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