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2006년, 11월 플로리다
01 미국에서 맞는 아침식사
02 꿀벌은 어떻게 세상을 정복했는가
03 붕괴
04 원인을 찾아서
05 서서히 퍼지는 독
06 2007년 11월, 플로리다
07 아몬드의 향연
08 신경쇠약 직전의 벌들
09 회복, 그리고 러시아 벌
10 아름다운 생명체의 탄생
11 결실 없는 가을
에필로그 첫서리
부록 1 아프리카 벌이 알려준 지혜
부록 2 벌 기르기
부록 3 꽃과 곤충이 어울려 사는 정원 가꾸기
부록 4 벌꿀의 치유력
꿀벌이 없다면 농업도, 식량도 없다
지구상에서 “가장 대체 불가능한” 생물 종, 그들의 행방불명
아인슈타인은 일찍이 이렇게 말했다.
“꿀벌이 사라진다면 4년 안에 인류도 멸종할 것이다.”
세계 환경단체인 어스워치Earth Watch에 따르면 지구상에서 가장 대체 불가능한 생물 5종 가운데 벌이 첫 번째 자리를 차지한다고 한다.(나머지는 플랑크톤, 박쥐, 균, 영장류순
그리고 2006년, 일하러 나갔던 꿀벌들이 한꺼번에 실종되는 현상이 발생했다.
이른바 ‘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이다.
양봉가와 농부들이 당황한 것은 물론이고, 미국 굴지의 아이스크림 회사 하겐다즈는 꿀벌 연구에 25만 달러를 투자했다. 꿀벌의 수가 줄어듦에 따라 아이스크림 재료로 쓰이는 달콤한 꿀을 확보하기가 어려워졌기 때문이다.
그 많던 꿀벌은 다 어디로 갔을까?
꿀벌들이 갑자기 실종되는 현상, 즉 꿀벌의 군집 붕괴 현상(Colony Collapse Disorder, CCD은 곧 농업과 식량 위기로 직결된다. 꿀벌은 지구상에 출현한 생물 가운데 가장 열정적이고 조직적인 생활을 하는 떠돌이 농사꾼이다. 하지만 우리에게 왜 그처럼 많은 꿀벌이 필요한 것일까? 작물들은 꿀벌이 나서기 이전부터 존재해오지 않았던가?
1억 5000만 년간 곤충은 꽃을 피우는 식물들이 짝짓기를 할 수 있도록 돕는 배달부 역할을 맡았다. 곤충이 없다면 오늘날 지구상 식물들 대부분이 번식을 할 수 없다. 수천 종의 곤충들이 꽃꿀과 꽃가루를 먹고 살았으며 8000만 년 전쯤 곤충의 일종인 벌들이 특별히 그것을 주식으로 삼았다. 벌 2만 종(種 가운데 오직 한 종만이 꽃꿀을 남달리 애용해왔으니 이들이 바로 양봉업을 이끌어온 장본인이다.
영화
<워낭소리>
에는 소를 자식처럼 여기는 할아버지가 소에게 먹일 꼴을 위해 끝까지 농작물에 약을 치지 않으려 고생하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