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백곡 처능, 조선 불교 철폐에 맞서다
저자 자현
출판사 조계종출판사
출판일 2019-08-10
정가 22,000원
ISBN 9791155801246
수량
출간에 부쳐
여는 글

해제 척불 정책에 대한 논리적 반박, <간폐석교소> _ 벽산 원행
1. 백곡의 생애와 <간폐석교소>를 저술한 동기
2. <간폐석교소>의 내용과 의의
3. 불교 무용론과 유해론에 대한 반박

제1부 시대정신의 불꽃, 백곡 처능의 생애
1. 유교의 한계와 양란 사이의 탄생 및 출가
2. 백곡의 출가 계보와 조선 중기의 불교계
3. 선조의 부마 신익성에게 유학을 배우다
4. 벽암 각성을 스승으로 모시다
5. 백곡의 성지 순례와 서산 대사에 대한 추모
6. 전란의 극복 과정과 조선 정부의 태도
7. 유교의 영향과 불교의식집의 재편 필연성
8. 백곡의 문명文名과 인조를 위한 천도문 작성
9. 봉은사의 삼세불상 불사 참여와 대둔산 안심사의 주석
10. 예법의 강조 속에 경직화되는 주자학
11. 예송 논쟁과 불교의 말살을 시도하는 정국
12. 국가의 부름과 수행자로서의 삶
13. 백곡의 마지막을 불태운 금산사 대법회

제2부 불교 폐지의 부당함을 알리는 상소문 : <간폐석교소> 쉽게 읽기
1. 이치에 맞는 말이라면 가벼이 여기지 마라
2. 크게 이루려는 이는 작은 것조차 버리지 않는다
3. 현종은 최고의 성군이며, 이는 백곡의 영광이다
4. 군주는 간언을 통해 올바름을 이룬다
5. 백곡이 진언한 이유와 당시의 여섯 가지 불교 비판
6. 부처님에 대한 중국 고대 기록으로 당위성을 강조함
7. 불교는 진시황 때 시작되어 당·송 시대에 꽃이 피다
8. 당시 유행하던 여섯 가지 불교 비판에 대한 백곡의 변증
9. 불교를 존숭한 황제의 뛰어난 치적과 엇갈린 평가
10. 불교를 숭상한 대표적인 명신과 고결한 선비들
11. 불교를 배척한 임금들의 비극적인 최후
12. 불교를 배척하고 비판한 신하들은 혼란기의 소수일 뿐이다
13. 책에 적힌 기록에는 필연적으로 오류가 존재한다
14. 불교를 배척한 유학자들도 전폐를 말하지는 않았다
15. 유교 역사서의 맹점과 불교
백곡 처능, 가혹한 불교 탄압에 정면으로 맞서다

조선 초인 태종 대부터 본격적으로 시작된 불교 탄압 정책은 조선 중기로 오면서 더욱 심해진다. 세조의 돈독한 신심과 불교를 옹호하기 위한 노력이 있기는 했지만, 세조의 죽음 이후 불교를 탄압하려는 시도는 더욱 격렬해진다. 당시 유생들의 상소에 실려 있는 표현 그대로 불교의 뿌리를 뽑기 위해 온갖 행태가 자행된다. 그 결과 연산군·중종 대에 이르면 그나마 남아 있던 선종과 교종 두 종파마저 모두 없어지고, 조선 초기 이래로 실시해오던 승과고시 제도마저 철폐된다. 이로써 승려가 될 수 있는 길은 차단되고, 승려의 신분을 인정하는 제도마저 모두 폐지되는 등 노골적인 폐불 정책이 시행된다. 당시 이미 조선의 승려들은 도성 출입을 금지당하는 등 심한 신분적 차별을 받고 있었다. 더 이상 불교의 소생을 기대하기 어려울 정도로 암담한 상황이었다.
다행히 문정왕후가 등장하면서 새로운 국면이 펼쳐진다. 문정왕후는 선종과 교종을 부활하고 승과와 도첩제를 실시하여 선종과 교종 양쪽에 각각 30명의 승려를 뽑고, 전국 300여 개의 절을 공인하는 등 과감한 불교 중흥 정책을 전개한다. 또한 양주 회암사에 있던 승려 보우를 맞아들여 봉은사 주지로 임명했으며, 훗날 중종과 함께 묻힐 마음으로 서삼릉에 있던 중종의 능을 봉은사 인근인 정릉으로 이장한다. 문정왕후의 노력 덕분에 불교 교단은 활기를 띠었고, 인재들이 모여들었다. 이때 실시한 승과를 통해 대두한 인물들이 청허당 휴정과 사명당 유정, 뇌묵당 처영 등이다.
그러나 당시 유생들은 문정왕후의 불교 중흥 노력에 격렬히 반발한다. 각지에서 보우를 타도하라는 상소와 승과를 폐지하라는 상소가 빗발친다. 보우를 죽여야 한다는 상소를 올리다 못해 성균관 유생들이 성균관을 비우는 집단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문정왕후 덕분에 잠시나마 부흥의 빛을 보였던 불교계의 고승들은 유생들의 탄압에 다시금 산속으로 들어가야 했다. 얼마 뒤 발생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에 이들은 승병이 되어 나라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