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제1부 명리학의 이해
제1장 육신(六神의 기초
1. 명리학의 구조
2. 육신의 구조
3. 육신의 의무와 용도
4. 간명의 중요성
5. 이 책을 읽는 방법
제2장 용어 해설
1. 궁성 용어
2. 음양오행 용어
3. 육신 용어
4. 격국 용어
제2부 육신 해설
제1장 일간(日刊
1. 신왕
2. 신약
제2장 비견(比肩
1. 비견이란
2. 비견의 특성
3. 비견의 성격
4. 비견의 활용
5. 비견의 직업 특징
6. 비견의 배속
7. 비견이 간명
8. 비견 월령의 간명
9. 건록격의 특징
제3장 겁재(劫財
1. 겁재란
2. 겁재의 특성
3. 겁재의 성격
4. 겁재의 활용
5. 겁재의 직업 특징
6. 겁재의 배속
7. 겁재의 간명과 용도
8. 겁재 월령의 간명
9. 양인격의 특징
제4장 식신(食神
1. 식신이란
2. 식신의 특성
3. 식신의 성격
4. 식신의 직업 특징
5. 식신의 배속
6. 식신의 간명과 용도
7. 식신의 간명 해설
8. 식신 월령의 간명
9. 식신격의 특징
제5장 상관(傷官
1. 상관이란
2. 상관의 특성
3. 상관의 성격
4. 상관의 직업 특징
5. 상관의 배속
6. 상관의 간명과 용도
7. 상관의 간명 해설
8. 상관 월령의 간명
9. 상관격의 특징
제6장 정재(正財
1. 정재란
2. 정재의 특성
3. 정재의 성격
4. 정재의 직업 특징
5. 정재의 배속
6. 재성의 간명과 용도
7. 정재 월령의 간명
8. 정재격의 특징
제7장 편재(偏財
1. 편재란
2. 편재의 특성
3. 편재의 성격
4. 편재의 직업 특징
5. 편재의 배속
6. 편성의 간명과 용도
7. 편재 월령의 간명
8. 편재격의 특징
제8장 정관(正官
1. 정관이란
2. 정관의 특성
3. 정관의 성격
4. 정관의 직업 특징
5. 정관의 배속
6. 정관의 간명과 용도
7. 정관의 간명 해설
8
책 속으로
음양(陰陽으로 나눠진 십신(十神은 각각의 목적에 따라 임무를 수행한다.
관(官을 기준으로 지위와 체제를 다루는 분야를 관인상생(官印相生이라 하고,
재(財를 중심으로 기본생활을 영위하기 위한 수단과 결집을 다루는 분야를 식상생재(食傷生財라고 한다. 일간을 기준으로 자신의 능력을 키워서 자기중심으로 생활하는 것을 인아식(印我食이라 하고, 자신의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고 타인 중심으로 활동하는 것을 재생관(財生官이라 한다.
- p21 -
간지(干支로는 태어난 날을 일주(日柱라 하고, 일주(日柱의 천간(天干을 일간(日干이라 한다. 육신(六神에서는 일주(日柱의 천간(天干을 아(我라고 말하는데, 태어난 그대로 정체되어 있지 않고 가치관을 정립하며 성장하기 때문이다. 흔히 체(體로는 신(身이라고 하는데, 이는 신체적인 역량을 구분할 때 쓰는 말이다.
- p71
비(比란 備(갖출 비라는 어원에서도 알 수 있듯이 인간이 살아가는 데 갖춰야 할 것들을 말한다. 견(肩이란 동등한 관계에서 서로를 책임져 주고 상대의 아픔을 대신해서 이겨내는 모양이다. 그러므로 비견(比肩이란 동등한 관계를 유지하면서 서로 돕는 모양을 하고 있으니 상부상조의 개념이 내포되었다.
- p112
겁재(劫財란 남보다 우월하고자 노력하는 상으로, 지배자가 되거나 패배자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즉, 비견(比肩처럼 동등한 관계가 아닌 상하(上下와 대소(大小의 개념이다. 비견(比肩이 공동분배를 원칙으로 한다면, 겁재(劫財는 차등분배를 분명이 정하는 것이다. 겁재(劫財를 표현하는 적절한 단어는 고집, 손재, 의리, 용맹, 잔인, 경쟁의 대상, 제거의 대상, 희생과 헌신, 폭력 등이다.
- p136
식신(食神은 물질로는 의식주 생활용품과 같고, 정신으로는 물질의 풍성함에 감사를 표하는 것과 같다. 또한 식신(食神의 깊은 뜻에는 천연자원의 개념도 들어 있다. 인간에게는 인륜이 있고, 자연에게는 자연재가 있는 것이다. 자식을 먹이는 부모로서의 식신(食神이 인륜이라면, 인간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