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개정판 서문 개정판 서문 초판 서문
제1장 특성과 영향력
1. 방송이란?2. 방송 기술의 특성?3. 방송의 영향력?4. 방송의 특성?5. 방송의 공익성과 공공성
제2장 방송 규제
1. 방송 규제 법제의 변화?2. 방송 규제 기구의 변화?3. 방송 규제에 대한 논의?4. 방송의 진입 규제?5. 방송의 내용 규제?6. 방송의 소유 규제?7. 유료방송사업자에 대한 동일 규제 적용으로의 변화?8. ‘방송법’ 개정의 경과와 주요 내용
제3장 방송사와 방송 산업 현황
1. 방송사 현황?2. 방송 산업
제4장 방송 편성의 이해
1. 편성의 정의?2. 편성의 이념과 목표?3. 편성의 기본 원칙?4. 편성의 결정 요인?5. 편성 원칙과 편성 기준?6. 지상파방송의 편성 전략?7. 케이블방송과 위성방송의 편성 전략?8. 채널사용사업자와 지상파 TV 간 편성 경쟁
제5장 방송광고의 현황
1. 방송광고의 기능?2. 방송광고의 유형?3. 방송 매체별 허용 기준?4. 한국 방송광고의 판매 제도?5. 방송광고의 판매 방식?6. 방송광고의 시급?7. 방송광고의 방영 순서?8. 광고 심의 제도?9. 방송광고 관련 쟁점
제6장 방송 역사
1. 한국 라디오 방송의 역사?2. 한국 텔레비전 방송의 역사?3. 다매체 시대의 도래와 유료방송의 역사
제7장 방송의 공정성
1. 방송의 공정성을 둘러싼 논의?2. 방송의 공정성 관련 규정 적용 사례 분석?3. 공정성 관련 방송 심의 사례
제8장 재송신
1. 재송신의 유형?2. 재송신 정책의 목표?3. TV 방송의 유료방송에의 재송신 역사
제9장 역사 드라마의 사실성과 허구성 논란
1. 역사 드라마, 역사와 드라마의 합(合?2. 역사 드라마를 보는 두 가지 시각?3. 사실성에 기초한 허구성과의 조화
제10장 외주 정책
1. 외주 정책 도입의 의미?2. 외주 정책의 변천 과정?3. 외주 정책에 대한 평가?4. 외주 정책에 대한 이해 당사자의 입장?5. 외주 정책을 위한 제언?6. 불공
책 속으로
방송통신위원회의 「2016년도 방송시장 경쟁상황 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15년 기준 1인당 하루 평균 지상파 채널 시청시간이 90분인 반면, 비지상파 채널은 92분이었다. 보고서는 “비지상파 채널이 지상파 채널의 평균 시청시간을 최초로 넘은 것”이라며 “비지상파 채널의 증가와 콘텐츠 품질 향상 때문”이라고 밝혔다. 2000년만 해도 지상파 평균 시청시간(171분은 비지상파(46분의 3.7배였다. 하지만 종편 등장(2011년 12월 다음 해인 2012년 ‘108분(지상파 대 82분(비지상파’으로 급격히 좁혀졌다가 2015년 역전당한 것이다. 방송통신위원회의 ‘2016년도 방송 매체 이용행태 조사’에 따르면, 종편·케이블방송을 볼 수 있는 유료방송 서비스에 가입하지 않고 지상파만 시청하는 가구는 5%에 불과했다. 이는 2014년(6.7%과 2015년(5.3%보다 줄어든 것이다. _ 31~33쪽, 제1장 특성과 영향력
IPTV가 기존 인터넷 TV와 다른 점은 모니터·키보드·마우스 대신에 텔레비전 수상기와 리모컨을 사용한다는 것이다. 또한 단순히 제공되는 방송을 보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리모컨을 이용해 원하는 콘텐츠도 함께 이용할 수 있는 쌍방향성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케이블방송이나 위성방송과 다르다. 인터넷이 연결된 텔레비전 수상기, 셋톱박스(Set-Top Box만 있으면 IPTV를 이용할 수 있다. _ 98~99쪽, 제3장 방송사와 방송 산업 현황
해머킹(Hammocking은 시청률이 낮은 프로그램이나 신설 프로그램의 시청률을 높이고자 할 때 사용하는 편성 전략이다. 새로운 프로그램이나 인기가 떨어지는 프로그램을 인기 있는 2개의 프로그램 사이에 끼워 넣어 인기 있는 프로그램의 시청자 흐름을 인기 없는 프로그램으로 연결시키려는 전략이다. 끼워 넣기 편성 또는 샌드위치 편성이라고도 한다. 국내 방송사 중에서 해머킹을 사용하는 예는 뉴스 전후에 인기 드라마를 편성해 시청자의 흐름을 자연스럽게 뉴스로 흘러 들어가게 하는 전략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