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웃음에 가려진 아이들의 아픔을 살피지 못하는 어른들에게 1장 친구 없는 외로움에서 벗어나기 경쟁은 야만의 다른 이름이다 경쟁, 인간성 상실을 재촉하다 외로운 섬 아이 친구를 기다리는 아이 2장 부모의 욕심에서 벗어나기 사람으로 살아갈 수 있는 것은 사랑 때문이다 아이들은 그렇게 어른의 아이가 되어간다 온기 잃은 엄마의 품 아빠의 웃음이 그리운 아이 3장 교사의 간섭에서 벗어나기 아이와 교사 사이를 가로막는 장벽 별명엔 또 다른 아이가 들어 있다 선생님과의 거리 생각을 숨기는 아이 과제는 성장의 재료인가 말하기보다 듣기가 중요하다 학생다움은 굴레다 교사의 눈길이 닿지 않는 자리는 어둡다 아이들의 즐거움은 교사의 괴로움이다 누구인지도 모르는 아이 앞에서 교육을 논하다 아이의 아픔은 아이의 아픔일 뿐이다 4장 성적의 압박에서 벗어나기 성적이 신분을 결정한다 자신을 잃는 아이들 아이들의 꿈은 이렇게 조용히 시들어간다 성적이 꿈을 선별한다 뭘 먹고 살지 묻지 마라 성적에 포박당한 아이들 5장 학교의 구속에서 벗어나기 학교는 왜 자유를 거부할까 학교와의 거리 자신을 숨기는 아이 멀고 먼 교무실 시간표는 아이들의 성장을 꾀하는가 들리지 않는 아이들 목소리 교실이 두려운 이유 아이들을 바라보는 폭력적 시선 만들어지는 아이들 교실은 유배지인가 여백 없는 생활 아이들은 왜 학교를 벗어나고 싶어 할까 적응은 아이가 아니라 학교의 몫이다 6장 제도/정책의 위협에서 벗어나기 정말로 중요한 것인가 학생은 왜 침묵하는가 피로 세대 과제가 아이들을 지치게 한다 다름을 인정하면 특별해진다 의무적 공부는 공부 강박을 부른다 돈, 아이들의 꿈을 품다 아픈 건 죄다 교과가 멸종되는 방식 아이들이 서울로 향하는 까닭은 수업은 아이들의 시간이다 가난은 꿈마저 방해한다 아이들의 꿈은 어른의 욕심이다 돈에 머리 숙인 아이들의 꿈 얼굴 없는 아이들 아이의 말은 아이의 삶이다 스마트폰에 삶을 묻은 아이들 대학이 먼저 답하라 에필로그 교육은 인간의 존엄성을 존중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
어른의 간섭이 아이를 병들게 합니다!
어른의 간섭이 아이를 아프게 합니다!
아이들의 아픔에 한없이 무거운 책임을 느껴야 합니다!
“학교에 가면 행복할 줄 알는데… 그곳은 또 다른 고통 이었습니다”
“그저 저만 믿으시면 됩니다.” “오직 결과만이 여러분의 가치를 증명합니다.” “내가 합격시켜줄 테니깐 얌전히, 조용히, 가만히 있어, 죽은 듯이.” 같은 명대사를 회자시키며 2019년 초 대한민국을 들썩이게 한 드라마
. 인성이나 교양보다 오직 최고 명문대 진학만이 인생의 목표인양 몰아붙이는 선생과 학부모, 그리고 학생들. 가상의 상황들이 등장하지만 오늘날 대한민국 현실을 꽤 많이 반영했다는 사실에 누구라도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소위 인격 형성의 과정을 교육이라고 정의하는데 이 드라마뿐만 아니라 이 땅에서 교육은 ‘명문대 입학’이거나 최소 ‘대학 입학’으로 재정의 되어 왔다.
그러다 보니 교육 현장은 숱한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교권 추락’, ‘왕따 문제’, ‘사교육의 공교육화’에 이르기까지 제대로 손을 쓸 수 없는 상황에까지 이르고 있다. ‘한 아이를 키우려면 온 마을이 필요하다’는 아프리카의 어느 속담을 곱씹어 봤을 때 부모, 형제, 친척, 이웃, 교사, 친구 등 주변 사람들의 관심과 애정 그리고 도움이 필요한데 대한민국 현실에서 그러한 것들은 전혀 의미 없는 잉여인 것만 같다.
‘무엇이 문제일까? 왜 이러한 상황에까지 이르렀을까?’ 교사, 학생, 부모 등 교육 현장의 주체들이 서로를 이해하려는 노력조차 하지 않고 멀어져가고만 있는 오늘날 현실에서 참교육의 가치를 고민하고 실험해온 어느 교사의 눈높이 교육의 현실이 때로는 따듯하게, 가끔은 가슴 아프게 다가온다. 스스로 교사들의 반성문이자 ‘나의 반성문’이라 고백하는 목소리가 절절하게 들려온다.
‘서연이’와 ‘민준이’라는 두 학생의 눈높이에서 바라본 교육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