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스로 괴물이 된 걸까?
괴물로 만들어진 걸까?
그렇다면 다섯 편의 소설에서 ‘괴물’은 어떤 모습으로 표현되고 있을까?
이옥수 작가의 <자살각>은 죽는 것보다 이 세상에서 살아가는 게 더 힘들다고 느끼는 아이들이 자살을 시도하려는 순간 무인도로 납치되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그리고 있다.
“죽일 테면 죽여라. ……나를 조각낸다고 해도 죽기밖에 더 하겠어?”
“어차피 이생망이야.”
“진짜 내 인생 유치원 때 빼곤 좋은 날이 한 번도 없었어. 개같아. 아니, 지옥이야, 지옥, 지옥에 던져진 거야. 날마다 지옥이었어.”
비교, 성적, 부모의 폭력을 견디다 못해 죽음을 선택한 아이들. 결국 이 아이들은 무인도에서도 죽음을 선택하고 영원히 괴물이라는 이름으로 불리게 되는 걸까?
강미 작가의 <잘못>은 모범생 진목이가 축제 때 불법 촬영을 하다가 걸리면서 벌어지는 이야기를 담고 있다.
“언제부터였니?”
“아무 일 아니에요. 개취…….”
“개인 취향이라니, 너 지금 무슨 말이야? 이건 범…… 그냥 넘어갈 수 없는 문제야.”
“전학 가면 될 거 아니에요? 갈게요. 간다고요.”
여자 다리를 불법으로 촬영해서 소장하는 취미도 모자라 그게 잘못인 줄도 모르고 ‘개인 취향’이라고 말하는 괴물 아이. 이 아이는 다시 모범생으로 돌아갈 수 있을까?
정명섭 작가의 <우리 학교에 괴물이 있다>는 유튜브를 통해 학교에 ‘렙틸리언’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 동우가 그 정체를 밝히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내용이다.
학교에는 좋은 선생도 있었지만 이상한 선생들도 많았다. 동우가 생각하는 학교는 자기같이 불쌍한 아싸가 더 돌봄을 받아야만 했다. 하지만 몇몇 선생들을 제외하고는 공부 잘하는 애들에게만 관심이 있었다. 아니면 아예 학생들에게 관심이 없거나.
“렙틸리언들이 우리 학교에 있는 게 분명해.”
유튜브를 통해 알게 된 ‘가짜뉴스’를 믿고 진짜 괴물을 찾아나서는 주인공. 학교에는 진짜 괴물이 있는 걸까? 괴물을 찾다가 자신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