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1부 시민교육을 위한 역사교육의 방향 1장 시민 역사교육의 개념과 내용 구성 원리 국가 역사교육에서 시민 역사교육으로 | 시민 역사교육의 개념과 쟁점 | 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 시민적 관점의 역사교육 | 역사교육의 본질은 시민교육인가? 2장 ‘애국주의’를 넘어서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들어가는 말 | 애국심 교육을 둘러싼 논쟁과 대안 모색 | 세계시민주의를 통한 ‘국민’과 ‘세계시민’의 공존 | ‘애국주의’를 넘어서 ‘세계시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3장 교사의 민주주의 인식과 역사교육 내용 구성 역사교사의 인식 조사의 필요성 | 역사교육의 민주주의 논의 | 연구방법 및 조사 대상 | 역사교사의 반응 분석 | 역사교육 내용 선정기준으로 민주주의 적용의 가능성 2부 시민적 가치를 살리는 역사교육 1장 탐구에서 만남으로: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 양상과 민주시민 교육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을 왜 논의해야 할까? | 역사수업의 학생 활동: 왜? 어떻게? | 민주적 공동체 속의 역사수업, 학생 활동을 향하여 | 민주적 가치를 살리는 역사교육을 기대하며 2장 인권의 관점으로 접근하는 초등학교 3.1운동 수업 인권 관점의 3.1운동 학습 가능성 | 역사교육과 인권교육의 관련성 | 3.1운동 수업구성 | 수업실천 및 성찰 3장 남북통합을 위한 초등 역사교육 방향 새로운 패러다임의 남북한 역사교육 통합 필요성 | 초등 사회교과서 북한 관련 서술의 변화 | 남북한 역사교육 통합을 위한 내용 구성 논리 | 통합 역사교육 내용 구성 방안 | 평화활동을 통한 남북한 갈등 해결 3부 민주시민의 역량을 기르는 역사교육 1장 삼별초 사례에 나타난 도덕성 양상과 역사학습 들어가는 말 | 역사이해 속 도덕성을 분석하기 위한 틀: 조너선 하이트의 도덕성 기반 이론 | 연구 사례: ‘제주 삼별초 이야기’ 학습과 도덕성 양상 | 역사적으로 맥락화된 윤리적 성찰을 생각하며 | 〈부록〉 제주항몽유적지의 기록화 2장 초등학생의 역사텍스트 다원적 관점 인식 역사교육과 다원적
세계화 시대는 세계 여러 지역과 나라, 사람들의 교류를 촉진하고 정보의 접근을 손쉽게 했지만, 다른 한편으로 겉으로 드러나는 효율성을 앞세우는 신자유주의 논리를 정당화했다. 성과를 잣대로 하는 평가와 좋은 성적을 얻기 위한 무한 경쟁이 일상화되고, 사람들은 이를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이에 대한 반성은 평화, 인권, 다원성 등 민주적 가치를 되돌아보게 했으며, 배려나 공공선과 같이 구성원들이 함께 살아갈 수 있는 행동이나 도덕적 기준을 논의하게 만들었다. 학교 교육도 이런 가치를 존중하는 사회를 만드는 데 참여할 수 있는 인간을 기르는 데 관심을 가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근래 교육부나 일부 교육청들도 민주시민 교육을 새삼 강조하면서 학교 교육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정책적으로 힘을 기울이고 있다.
그런데 역사교육은 사회 갈등의 대상이 되었다. 21세기에 접어들어 한국의 역사교육은 외적으로는 일본의 역사왜곡과 중국의 동북공정, 내적으로는 유사 역사학, 근현대사 논쟁과 국정 교과서 파동 등으로 연이어 사회적 논란에 휩싸였다. 이는 동아시아 국가들 간에 그리고 한국 사회 내부에 적잖은 갈등을 가져왔다. 이런 문제들을 겪으면서 학교 역사 교육의 방향을 고민하는 목소리도 나왔다. 사회구성원이 공유해야 할 가치에 기반을 두는 시민교육으로서 역사교육을 모색하려는 움직임이 대표적이다. 이에 따라 ‘민주주의를 지향하는 역사교육’, ‘민주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과 같은 말들을 어렵지 않게 들을 수 있게 되었다.
민주시민 교육이 강조되는 시대에 역사교육이 나아갈 바를 궁리하다
역사학이 인간의 사회적 행위를 다루는 학문이며 역사교육은 그런 역사학의 성과를 내용으로 하는 것이므로, 역사교육은 본질적으로 시민교육의 성격을 가지고 있다. 또한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역사와 시민교육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는 역사교육 연구의 주된 과제가 되었다. 그런데도 시민교육으로서 역사교육의 성격이나 방법의 논의는 활발하지 못했고, 시민교육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