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삼순이 (시대가 만들고 역사가 잊은 이름
저자 정찬일
출판사 책과함께(주
출판일 2019-09-16
정가 25,000원
ISBN 9791188990429
수량
프롤로그: 한국 현대사의 그늘 ‘삼순이’


1부 식모
머리말: 생명의 어미에서 ‘하녀’로

1. 조선어멈을 아시나요?
일본 가정을 선호한 식모들 | 저주받은 식모살이 | 염상섭과 김동인의 불만 | 아이를 돌본 아이, 아이보개

2. 식모 전성시대
전쟁과 식모 | 고향을 떠난 순이 | 서울역 광장의 함정 | 식모를 둔 판자촌

* 남성 식모

3. 하녀의 다른 이름, 식모
먹여주고 재워주기만 한다면 | 시집갈 때 돈 줄게 | 감히 택시를 탄 식모 | 어린이 식모 | 집주인의 폭행 | 살인식모·유괴식모·악당식모 | ‘왈순아지매’에서 ‘봉순이 언니’까지

4. 그 많던 식모는 어디 갔나
주부들의 항변 | 식모, 주부들 타락의 주범으로 몰리다 | 시간제 식모의 출현

* 식모 자리를 옮기지 않고도 월급을 올리는 법


2부 버스안내양
머리말: 영화 〈도시로 간 처녀〉의 주인공들

1. 로맨스를 흩뿌리던 ‘뻐스걸’
집채만 한 차, 경성을 달리다 | 담 밖으로 나온 규중처녀 | 애간장 녹는 총각들 | 차마 말하지 못한 속사정

2. 남성 차장
교통지옥의 시대 | 차장은 ‘갑’, 승객은 ‘을’

* 열일곱에 시작한 남차장

3. 대중교통의 선두 주자로 나선 버스
쿠데타 정권의 혁명적 조치 | 청량리-동대문, 303호 마지막 전차 | 안내양을 퇴장시킨 ‘원맨버스’

* 이런 손님 저런 손님

4. “오라잇, 스톱!”
명랑과 친절을 위해 여성으로 | 하루 18시간 근무 | 시골 출신을 선호한 이유 | 버스안내양과 박정희 대통령 | 공포의 개문발차 사고 | ‘싸가지 없는’ 안내양들 | 억순이와 돌계집의 경계 | 야박한 여감독과 소극적인 노동조합

5. 삥땅은 죄악이 아니다
알몸 수색과 알몸 농성 | 기상천외한 삥땅 수법 | 삥땅 방지 대책

* 나의 버스안내양 시절(인터뷰


3부 여공
머리말: 공장은 처녀 신세 망치는 곳

1. 그대 이름은 ‘산업역군’
국가에 소속된 여공 | 나비가
“이 책을 읽고 나면 우리는 더 이상 역사를 승리한 남성의 관점으로만
바라보지 않게 될 것이다. 여기에 진짜 역사가 있다.”
- 노명우 교수(《인생극장》, 《세상물정의 사회학》 저자

오늘도 분투 중인 한국의 여성들, 그 선배들의 이야기

‘순이’는 한국에서 (한국 여성을 지칭하는 대명사다. 1950~1960년대 여성 신생아의 이름에 가장 많이 붙여진 글자였으며, 지금도 여전히 ‘○순이’와 같이 농담처럼 쓰이고 있다. 그런데 이 ‘순’은 어떤 의미와 의도로 이름에 쓰이기 시작한 걸까? 사실 20세기 이전에는 한국여성에게 제대로 된 이름이 붙거나 그 이름이 역사에 남는 경우가 거의 없었다. 그러다 일제 강점기 들어 호구조사와 민적법에 의해 여자아이에게도 이름을 지어줘야 했는데, 집안에서는 대충 짓곤 했다. 그때부터 많이 쓰인 한자가 ‘순할 순(順’이었다. 그저 지아비와 집안을 ‘잘 따르는 순한’ 여자면 된다는 것이었다.
하지만 이후 한국은 식민지화와 근대화의 물결에 휩쓸렸고, 전국 각지의 궁핍한 가구에서는 온 가족이 밥 한 끼 제대로 먹기도 어려웠다. 식량을 더 늘릴 수 없다면 방법은 하나. 입을 더는 것뿐이었다. 그 희생양은 당연하게도 어린 딸이었다. 순하고 조신하게 집 안에만 있기를 강요받던 이들이 이제는 반대로 집 밖으로 내쫓겼다. 하지만 이는 모순이 아니라 ‘가족을 위한 희생’이라는 같은 맥락이었다.
약 한 세기 뒤, 한국 사회는 미투운동으로 촉발된 페미니즘의 거대한 물결을 맞고 있다. 이는 어쩌면 “우리는 더 이상 순이가 아니다”라는 선언일지도 모른다. 100여 년 동안 무엇이 바뀌고 무엇이 여전히 바뀌지 않았을까? 이 사이에 한국 여성들은 어떠한 삶을 살아왔을까?
이 책 《삼순이 ? 식모, 버스안내양, 여공》은 이 땅의 수많은 ‘순이’,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세 ‘순이’의 전성시대를 복원, 조명한다. 그들의 삶은 감춰지고 잊힌 또 다른 한국 현대사이며, 바로 지금도 매일 분투하고 있는 한국 여성의 선배들 이야기다.


‘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