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 학교, 그 원형을 찾아?최교진(세종특별자치시 교육감 4 추천사 | 질문 같지 않은 질문이 필요 없기를 희망하며?이혁규(청주교육대학교 교수 8 머리말 | 작은 공동체의 참여, 두레 11 1장 두레, 혁신학교의 지속가능성 유우석 ………………………………………………………………………… 2장 학생자치 두레 이야기 고은영 ………………………………………………………………………… 학생자치 두레 사례 1 | 됨됨톡톡(Talk Talk 임하빈 ………………………………………………………………………… 학생자치 두레 사례 2 | 토의가 필요해 양정열 ………………………………………………………………………… 3장 두레, 그리고 수업 두레 정유숙 ………………………………………………………………………… 4장 2018 평가 두레 운영보고서 권찬근 ………………………………………………………………………… 5장 함께 만들어 가는 축제 유우석 ………………………………………………………………………… 6장 2년 차 혁신학교의 거의 모든 것 정유숙 ………………………………………………………………………… 글쓴이 소개
진짜 민주주의를 꿈꾸는 선생님들의 공동체 만들기!
교육과정, 학생자치, 학생생활, 수업, 평가 두레로 태어나다
중력의 공간 속에 사는 우리는 중력을 느끼지 못하고 산다. 그렇다. 학교 혁신, 민주적 학교문화가 학교를 학교답게 세우는 방향이라고 인정하고 공감함에도 교무-연구의 투 톱 체제가 지니는 영향력과 우리 속에 자리 잡고 있던 인식을 인지하지 못했다. 민주성, 자율성, 공공성의 가치를 담는 그릇으로 ‘두레’를 만들었지만 그들이 겪어 내는 좌충우돌은 갑작스런 사고로 다리를 잃은 사람이 겪게 되는 의식 속의 다리와 같다. 소담초의 두레는 그들의 문제 인식과 해결이면서 동시에 우리의 문제를 들여다보게 한다. 소담의 이야기에 가슴이 시리고 찡하다.
_오혜령(아름중학교 교사
씨줄과 날줄의 두레가 조직되고 실제 운영된다는 것은 소담초등학교 교사공동체의 백미라 할 수 있겠습니다. 효과적, 효율적 소통을 위한 미니스쿨이 결국 학년 간 단절로 인해 공동체성을 상실하고 학년 단위의 작은 공동체만 남는 것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습니다. 가당찮게 조언한다면 이를 보다 잘 운영할 수 있는 절차와 도구와 지원 등을 정리하고, 참여자의 자발성과 효능감을 갖게 할 홍보, 박수 등의 촉매를 정리하면 대규모 학교의 혁신학교 운영 장치로 전국의 학교와 학회에 제시해야 할 새로운 모델일 듯합니다.
_최탁(세종시교육청 장학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