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삼각관계로 바라보는 국제정치
제1장 삼각관계 국제정치의 이론화 모색
I 들어가는 글
II 국제정치이론의 분석수준
III 국제관계연구와 삼자수준
IV 삼각관계의 유형, 부상, 그리고 변환
V 나가는 글
제2장 삼각관계 체계이론으로 본 근대 한·중·일 관계의 전개(1871-1907
I 서론
II 성립(1871-1876: 근대 동아시아 삼각관계의 내재적 모순
III 전개(1882-1894: 체계 동학(動學의 본격적 작동
IV 전환(1895-1907: 이중적 삼각관계로의 진화
V 결론
제3장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rivalry와 파키스탄-미국의 불안정한 동맹―1971년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3국관계의 교훈
I 서론
II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의 생성, 변화, 발전
III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방글라데시 전쟁
IV 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과 파키스탄-미국 동맹
V 결론
제4장 중국-베트남-소련 삼각관계의 형성과 와해―두 전선의 전쟁, 1978-1979
I 서론
II 중국과 캄보디아의 동맹, 베트남의 역습
III 중국과 베트남 관계의 밀착과 파열, 소련의 개입
IV 결론
제5장 냉전의 종식과 핵보유국의 태동―중·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미친 영향(1980- 1994
I 문제제기: 북한은 어떻게 핵보유국이 될 수 있었나?
II 사회주의 동맹의 압박과 북한의 NPT 가입(1980-85
III 진영의 붕괴와 한반도비핵화선언(1986-91
IV 1차 북핵위기와 전통적 사회주의 연대의 해소(1992-94
V 결론
제6장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과 삼각관계
I 서론
II ‘소다자주의’: 이론적 접근
III 인도·태평양 지역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
IV 미국 주도 삼자 안보협력의 삼각관계
V 결론
제7장 역사적 기억과 한·미·일 삼각관계의 변화
I 서론
II ‘유사동맹(quasi alliance’ 모델 그 이후
III 한일 역사 갈등의 현재화
책의 구성과 내용
이 사례연구들은 삼각관계의 관점에서 국제정치의 핵심 주제―전쟁(2장, 3장, 4장, 핵무기(5장, 동맹(6장, 7장―를 다루고 있다. 아시아가 근대국제질서에 편입한 이래 주요 전쟁의 발발과 핵무기 개발, 동맹의 형성과 부침의 주요 배경에 삼각관계가 존재했음을 알려준다. 이러한 삼각관계의 변화와 전환은 단순히 권력 배분에 따른 결과가 아니라 지도자의 전략적 판단, 사회세력의 선호와 영향, 국제환경의 변화에 따른 것으로 확인된다. 한편, 글로벌 차원과 지역 차원의 두 삼각관계가 상호 연동되어 작동하는 역사적 사례와 인도태평양 동맹망에서 양자·삼자·사자 협력이 상승작용하는 21세기 현실은 국제정치의 위계성과 역동성을 보여준다.
제1장 “삼각관계 국제정치의 이론화 모색”(정성철은 삼각관계 국제정치에 대한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향후 연구주제를 제시하고 있다.
제2장 “삼각관계 체계이론으로 본 근대 한·중·일 관계의 전개(1871-1907”(김종학는 근대 동아시아 조·청·일 삼각관계의 성립과 전환을 추적한다.
제3장 “인도-파키스탄 숙적관계(rivalry와 파키스탄-미국의 불안정한 동맹”(김태형은 제3차 인도-파키스탄 전쟁(1971을 인도-파키스탄-미국의 삼각관계를 통하여 살펴본다.
제4장 “중국-베트남-소련 삼각관계의 형성과 와해―두 전선의 전쟁, 1978-1979”(최규빈는 베트남의 캄보디아 침공(1978과 중국-베트남전쟁(1979을 삼각관계의 관점에서 분석한다. 베트남전쟁 이후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려는 베트남과 이를 경계한 중국을 중심으로 두 개의 삼각관계(베트남-중국-캄보디아, 베트남-중국-소련가 연동하여 작동했음을 밝히고 있다.
제5장 “냉전의 종식과 핵보유국의 태동―중·러가 북한의 핵프로그램에 미친 영향(1980-1994”(김보미은 북중러 삼각관계를 배경으로 이루어진 북한의 핵개발을 추적한다. 클린턴 행정부는 북한의 핵시설에 대한 예방타격을 검토하였으나 북한의 반격에 따른 한국과 일본의 피해, 중국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