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동학과 전통사상]
1. 유불선 종합의 동학적 해석학
2. 동아시아 전통에 대한 민학적 발상 전환
3. 서학의 종말론적 내세관과 구별되는 동학의 역사관
4. 소결 : 동학의 유토피아는 자유민권사회
[한국의 고대 사상과 동학]
1. 머리말
2. 동학과 무속 복권
3. 풍류도와 동학
4. 선맥의 역할과 그 중요성
[동학과 유학사상]
1. 들어가는 말
2. 동학의 유학 이해
3. 동학의 유학사상 수용
4. 나오는 말
[동학과 불교사상]
1. 서론
2. 동학의 한울님과 불교
3. 동학의 인내천과 불교의 인즉천
4. 동학의 불연기연과 불교
5. 결론
[동학과 도가사상]
1. 시작하는 말 : 문제 제기
2. 노장의 사유방식
3. 불연기연의 논리와 도가적 사유와의 유사성
4. 불연기연의 독자성
5. 맺는 말 : 앞으로의 과제
[전, 후기 동학가사의 동학사상과 그 변모]
1. 서론
2. 전기 동학가사에 나타난 동학사상
3. 후기 동학가사에 나타난 동학사상
4. 전, 후기 동학가사의 사상적 변모
5. 결론
[1920년대 전반기 천도교단의 노선갈등과 분화]
1. 머리말
2. 근대화 노선을 둘러싼 갈등과 분화
3. 민족운동 노선을 둘러싼 갈등과 분화
4. 맺음말
[동학 사회변혁론의 이론적 기초]
1. 들어가는 말
2. 동학사상의 현시 인식과 정치 목표
3. 동학 사회변혁론의 이론적 기초
4. 맺는 말
[일제하 만주 지역 천도교인의 민족운동]
1. 머리말
2. 3.1 만세 운동과 천도교인의 활동
3. 군자금 모금 활동과 독립운동단체 참여
4. 맺음말
출판사 서평
이 책은 동학 전문 연구자들이 ‘동학과 전통사상’ 이란 주제로 우리 민족의 전통사상 들을 비교 연구한 논문 모음집이다.
동학은 ‘서학’ 이라고 불리던 ‘천주교’와이 관련성뿐만 아니라 동양의 고전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고, 계승하는 측면과 극복하고 배타하는 성격을 두루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동학’을 전통사상과의 영향 관계에서 살펴보는 것은 ‘동학사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앞으로 이 책을 ‘동학과 서학’ ‘동학과 현대사상’ 등으로 확장...
이 책은 동학 전문 연구자들이 ‘동학과 전통사상’ 이란 주제로 우리 민족의 전통사상 들을 비교 연구한 논문 모음집이다.
동학은 ‘서학’ 이라고 불리던 ‘천주교’와이 관련성뿐만 아니라 동양의 고전 사상으로부터 영향을 받기도 하고, 계승하는 측면과 극복하고 배타하는 성격을 두루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동학’을 전통사상과의 영향 관계에서 살펴보는 것은 ‘동학사상’을 입체적으로 조망할 수 있다는 데에 그 의미를 찾을 수 있다.
이런 맥락에서 앞으로 이 책을 ‘동학과 서학’ ‘동학과 현대사상’ 등으로 확장되어 가면서 우리 민족사에서 끊임없는 ‘개벽’의 꿈을 퍼올리는 근원이 되고 있는 ‘동학’의 진면목을 세상에 드러내고, 현재화/현실화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