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판사 서평
1920년대의 일본에서는, 작중에 ‘나’라는 인물이 등장하기만 하면 그 ‘나’는 작품을 쓴 작가와 동일한 소설가이고, 그 소설의 이야기는 전부 실제 사건인 것처럼 오해받는 풍조가 일반화되었다. 그것이 바로 일본 문학의 특수성을 논할 때 반드시 등장하는, 일본의 사소설私小說이다.
‘현실 그대로의 완전한 재현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소설은 픽션fiction을 전제로 한다. 독자들은 소설을 읽을 때 허구를 전제로 하고 읽는다. 소설이 거짓말이라는 것은 작가와 독자 사이의 암묵적인 전제이자 약속이다. 다시 말해, 작가가 자신...
1920년대의 일본에서는, 작중에 ‘나’라는 인물이 등장하기만 하면 그 ‘나’는 작품을 쓴 작가와 동일한 소설가이고, 그 소설의 이야기는 전부 실제 사건인 것처럼 오해받는 풍조가 일반화되었다. 그것이 바로 일본 문학의 특수성을 논할 때 반드시 등장하는, 일본의 사소설私小說이다.
‘현실 그대로의 완전한 재현은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소설은 픽션fiction을 전제로 한다. 독자들은 소설을 읽을 때 허구를 전제로 하고 읽는다. 소설이 거짓말이라는 것은 작가와 독자 사이의 암묵적인 전제이자 약속이다. 다시 말해, 작가가 자신의 이야기를 썼다고 해도 독자들은 그것이 자서전이지 않으면 픽션으로 생각하고 읽는다. 소설을 읽을 때 작가를 소설로부터 배제시키는 것이 일반적인 소설읽기 방법인데, 일본 사소설을 읽는 독자들은 끊임없이 작가를 소설 속에서 주인공과 일치시켜서 읽는다. 이것은 일본 사소설만의 독특한 읽기 방법이다. 즉, 사소설은 ‘소설은 픽션’이라는 개념을 전도시켜버렸고, 사소설 독자는 ‘소설은 픽션이 아니라 사실’이라는 새로운 소설의 패러다임을 만들었다.
현실과 허구의 경계를 지우는 픽션의 등장은 사소설 작가들로 하여금 현실과 허구를 착각하게 만들었다. 사소설 작가는 현실을 글로 옮기면 그대로 소설이 된다고 생각했지만, 현실을 ‘있는 그대로’ 글로 옮길 수 있다는 것은 그들의 착각이다. 쥬네트에 의하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