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과학으로 수용된 서양 미술
메이지 시대의 조어, 미술과 나부
서양 미술의 유입과 일본의 누드 논쟁
구로다 세이키를 둘러싼 나체화 논쟁
나체화는 예술의 자유, 표현의 자유
구로다 세이키의 나체화론
러일전쟁 이후 일본 미술계의 변화
한국 땅을 처음 밟은 나체화
출판사 서평
누드의 수용과 관련된 일본의 문화변천을 소개한 책. 근대 미술의 수용이 문화적 충격을 야기한 과정을 살펴본다.
누드의 사회문화적 의미
‘누드’ 하면 떠오르는 건 ‘예술 아니면 외설’이라는 식의? 단순한 이분법이다. 일본에 누드가 소개되었을 때도 이런 식의 논쟁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일본이 점점 근대 국가로서의 체계를 갖추어 나가는 것과 함께 누드의 사회문화적 의미도 ‘일본식’으로 변해 간다. 저자는 서양의 누드를 둘러싼 동방의 섬나라 일본의 태도 변화의 추이를 더듬어 가며, 누드가...
누드의 수용과 관련된 일본의 문화변천을 소개한 책. 근대 미술의 수용이 문화적 충격을 야기한 과정을 살펴본다.
누드의 사회문화적 의미
‘누드’ 하면 떠오르는 건 ‘예술 아니면 외설’이라는 식의 단순한 이분법이다. 일본에 누드가 소개되었을 때도 이런 식의 논쟁이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일본이 점점 근대 국가로서의 체계를 갖추어 나가는 것과 함께 누드의 사회문화적 의미도 ‘일본식’으로 변해 간다. 저자는 서양의 누드를 둘러싼 동방의 섬나라 일본의 태도 변화의 추이를 더듬어 가며, 누드가 지닌 사회문화적 의미를 독자에게 설명한다. 이 책은 누드를 통해 바라본 근대 일본의 역사인 셈이다.
누드는 문명이다?
일본에 처음 누드가 소개된 시기에 누드는 누드로서 일본에 발을 내딛지 않았다. 서양 문명을 수용해서 본격적인 근대 국가로 발돋움하려 애쓰던 메이지 시대의 일본 사회에서, 누드는 그림이 아니라 서양의 진보된 기술이었다. 메이지 시대의 일본인에게 기하학, 해부학, 원근법, 음양법 등을 사용하여 마치 사진처럼 사물의 모습을 정밀하게 재현하는 누드가 어떻게 그림으로만 보였겠는가. 공업과 광업 등의 산업을 담당하는 공부성(工部省 산하에 미술 교육을 담당하는 미술학교가 설립된 것이나, 이 학교의 규칙 제2조에 “사진처럼 묘사하는 것을 연구하여 서구의 미술학교와 동등”해질 수 있도록 한다는 문구가 삽입된 것도 모두 이런 맥락에서 이해할 수 있다.
누드, 치마를 입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