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한국독립영화
저자 김수남
출판사 살림(주(일원화
출판일 2005-03-10
정가 3,300원
ISBN 9788952203465
수량
목차
작은영화와 독립영화
독립영화의 역사
한국독립영화의 위상
한국독립영화의 미학과 정체성
한국독립영화의 역할
한국독립영화의 진로
출판사 서평
한국독립영화의 역사를 서술하며 그 정체성과 미학을 탐색하는 책. 한국의 독립영화사의 흐름을 일제강점기 하의 독립의식의 발로에서부터, 해방 후 서구 독립영화의 영향, 7,80년대 사회참여적인 경향, 90년대 개인의 대두에 이르기까지 시기별로 살펴보고 있다.

독립영화로서 민중영화의 태동

서울대학교 영화연구회 ‘얄라셩’(1979년은 집단창작체제로 운영되는 본격적인 독립영화의 활동을 모색한 선발그룹으로 현재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홍준, 박광수, 송능한, 홍기선, 황...
한국독립영화의 역사를 서술하며 그 정체성과 미학을 탐색하는 책. 한국의 독립영화사의 흐름을 일제강점기 하의 독립의식의 발로에서부터, 해방 후 서구 독립영화의 영향, 7,80년대 사회참여적인 경향, 90년대 개인의 대두에 이르기까지 시기별로 살펴보고 있다.

독립영화로서 민중영화의 태동

서울대학교 영화연구회 ‘얄라셩’(1979년은 집단창작체제로 운영되는 본격적인 독립영화의 활동을 모색한 선발그룹으로 현재 감독으로 활동하고 있는 김홍준, 박광수, 송능한, 홍기선, 황규덕 등이 참여하였다. 얄라셩은 집단창작체제로 공동체적 의식을 추구하여 새로운 사회적 삶을 주장하는 현실참여의 영화제작을 강조한다는 점에서 순수 작은영화의 성격에서 벗어나고 있었다. 그들은 ‘서울영화집단’(1982년으로 다시 태어나 집단제작과 개인제작을 병행하면서 다양한 작품으로 현실에 참여하는 역할을 넓혀갔다. 그들은 라틴아메리카의 혁명영화에 관심을 갖고 영화운동을 통한 사회개혁을 시도하는 ‘민중영화’를 제창하였다.
이즈음 1987년 6월 항쟁과 노동자 대투쟁은 국민들의 민주화 열기를 전국적으로 폭발시켰고 급변하는 사회 정세 속에서 대학영화는 사회운동으로서 그 역할이 확대되고 있었다. 소형영화의 대중화 그리고 전문화를 시도한 ‘장산곶매’의 「오! 꿈의 나라」(1987년는 한국 작은영화의 장편영화 시도라는 큰 업적도 있었지만 당시 금기시하던 광주민중항쟁을 처음으로 언급하고 있었다는 사실에서 진정한 작은영화의 역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