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동양에도 과학이 있었나?
제1부 동아시아의 전통 과학
01 동아시아 전통 과학의 개념
02 동아시아의 과학자와 사회
제2부 전근대 중국의 천문역산학
01 하늘은 왜 무너지지 않을까?-중국의 천?문학
02 달력은 어떻게 처음 시작되었나?-중국의 역법
03 별자리를 통해 보는 중국의 천문
제3부 동아시아 과학 문명의 형성
01 동아시아의 과학 문명
에 새긴 별자리
02 동아시아의 천문역산학
17세기 이전의 동아시아 역법사
독자적인 역법을 편찬하도록 하라-프로젝트
천하태평 에도시대, 개력을 시도하다
제4부 동․서 과학 문명의 교류
01 예수회 선겨사들을 통해 전래된 서양 천문학
마테오 리치, 자명종 시계를 들고 천자를 알현하다
서양 오랑캐, 우주의 구조를 말하다
02 17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천문역산학
동아시아는 서양 천문학의 도전을 어떻게 받아들였나?
조선의 지식인, 처음으로 서양 선교사를 만나다
일본인, 최초로 유럽인과 만나다
03 17세기 이후 동아시아의 우주론
지구는 둥글다-중세 유럽의 상식
조선의 김석문, 우주를 논하다
료에이, 최초로 코페르니쿠스의 천문학을 소개하다
맺음말
출판사 서평
동양의 과학과 자연관은 무엇일까? 하늘의 의미와 날짜 계산법은 지금과 어떻게 다를까?
“삼가 천체 운행의 원리를 파악해, 해와 달과 뭇별의 운행을 계산하고 관측하도록 하라. 그리고 경건히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리도록 하라”는 요 임금의 이야기는 역법의 제작이 통치자의 가장 중요한 의무라는 뜻으로 동아시아 과학, 특히 천문학의 핵심이다. 예상치 못한 하늘의 변괴는 통치자의 입지를 위협했고, 그렇기 때문에 통치자들은 끊임없이 하늘을 살펴 하늘의 뜻을 받들고 개력을 통해 정치 체제를 안정시켰다. 이처럼 자연을 바라보거나 우주를 생각하는 ...
동양의 과학과 자연관은 무엇일까? 하늘의 의미와 날짜 계산법은 지금과 어떻게 다를까?
“삼가 천체 운행의 원리를 파악해, 해와 달과 뭇별의 운행을 계산하고 관측하도록 하라. 그리고 경건히 백성들에게 시간을 알리도록 하라”는 요 임금의 이야기는 역법의 제작이 통치자의 가장 중요한 의무라는 뜻으로 동아시아 과학, 특히 천문학의 핵심이다. 예상치 못한 하늘의 변괴는 통치자의 입지를 위협했고, 그렇기 때문에 통치자들은 끊임없이 하늘을 살펴 하늘의 뜻을 받들고 개력을 통해 정치 체제를 안정시켰다. 이처럼 자연을 바라보거나 우주를 생각하는 관점 역시 정치적일 수밖에 없었던 과거를 통해 동아시아인들이 ‘과학’, 특히 ‘천문학’이 어떻게 발달해 왔는가를 알려 준다.
동양의 전통 과학은 서양보다 자료를 좀더 정밀하게 측정했고, 이 결과물을 유기적으로 받아들였다. 종교 때문에 우주관이 정형화 될 수밖에 없었던 서양보다 자연현상을 보고 우주의 원리에 대해 생각하는 정도가 훨씬 깊이 있고 다양했다. 중국의 역법은 해와 달의 운행뿐만 아니라 다섯별의 천구상의 위치나 일식·월식 등의 계산도 포함하고 있는 ‘천체력天體曆’이었다. 이것은 천체운동을 역법으로서 다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철학적 사색 안에 담긴 과학적 이론
동아시아의 지식인들은 전통적인 우주론의 개념을 가지고 서양 천문학의 지식들을 수용했다. 각자의 고유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