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롤로그
‘나와 그들’이 아닌 ‘우리’가 되기 위하여
chapter 1
어울려 피는 꽃이 더 아름답다
모든 장애를 갖고 태어난 아이 | 희망의 문을 열다 | 자란다, 함께 자란다 | 완벽함보다 더 아름다운 것 | 결승선 앞에서 멈춰 선 이유 | 그늘에서 피는 꽃들
chapter 2
무릎을 굽혀야 눈을 맞출 수 있어요
눈높이 사랑, 눈높이 행복 | 밥 퍼주는 것만 봉사가 아니에요 | 꽃을 버려야 열매를 얻는다
엄마가 한 번씩 다 안아 줄까? | ‘도움’과 ‘나눔’의 차이 | I have a dream!
chapter 3
당신의 마음에 노크를
소년, 엄마를 찾아 뛰고 또 뛰다 | 김동성과 오노가 한 빙판에 선 이유 | 플로어하키장에 가득했던 ‘7번방의 선물’ | 만삭의 임산부가 스케이트화를 신은 이유 | 기적의 비밀
chapter 4
끝나지 않은 이야기
경기를 멈추지 말아 주세요 | 디테일의 힘 | 이 일은 당신 없인 안 돼요 | 자꾸 봐야 예쁘다, 오래 봐야 사랑스럽다 | Special thanks to 유나
에필로그
사랑이란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
옆집의 장애 아이를 따뜻한 시선으로 바라봐 주는 일,
‘함께’는 바로 거기서부터 시작됩니다
“패럴림픽은 뭐고, 스페셜올림픽은 또 뭐야? 다 같은 장애인 올림픽 아냐?” 개념조차 생소했던 스페셜올림픽은 대회 기간을 거치며 대한민국 국민 10명 중 7명이 아는 대회가 되었다. 역대 스페셜올림픽 역사상 최다 관객인 17만 명이라는 대기록까지 세웠다. 무엇이 그러한 기적을 가능하게 했던 것일까?
그 기적의 중심에는 나경원 조직위원장이 있었다. 하지만 그녀가 느낀 기적들은 역대 최대 규모, 최다 관중 같은 수치적인 성과가 아니었다. 그녀는 “대회 기간 8일 내내 마음속으로 울고 다녔다”고 고백한다.
방 안에만 갇혀 지내던 아이들이 환한 세상으로 나와 마음껏 달리는 모습도, 막 걸음마 뗀 아이처럼 걷다시피 하며 꼴등으로 들어온 선수를 향해 관중들이 모두 일어나 응원의 박수를 쳐주는 모습도 그녀에게는 모두 ‘작은 기적’이었다. 그곳에서만큼은 지적 장애인을 딱하다는 듯 바라보는 시선도, 나보다 못한 존재라는 편견도 존재하지 않았던 것이다.
이 책에는 평창 스페셜올림픽을 준비하고 진행하며 그녀가 경험하고 느낀 수많은 작은 기적들이 담겨 있다. 대회 관계자로서가 아니라 지적 장애인 딸을 가진 엄마이기에 느끼고 공감할 수 있었던 이야기들이 읽는 이의 마음을 울린다.
개막식에서 애국가를 부른 박모세 군은 지체 장애, 시각 장애, 중복 장애 1급의 소년이다. 임신 5개월에 뇌가 흘러내려 태어나도 살 수 없다고 했지만, 뇌의 90%를 잘라내고도 살아남아 노래를 부르는 기적을 보여 주었다. 크로스컨트리에 출전한 민상아 선수가 숨이 차도록 달리고 또 달린 이유는 엄마를 찾기 위해서, 자신을 잃어버리고 슬퍼하고 있을 엄마에게 자신이 잘 있다는 것을 보여 주기 위해서였다.
‘얼짱’ 선수 현인아 양의 어머니가 자폐를 가진 딸을 키우며 얻은 ‘눈높이 사랑’에 대한 깨달음은 아이의 시선이 아닌 부모의 시선으로 아이의 세상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