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서론
고려에서 이룩한 가장 높은 수준의 동아시아 시문학
제1장 저자의 출신과 생애
1. 저자의 출신과 가족
2. 급제와 활동연대
3. 경력과 생몰연대
제2장 본서의 서지와 문체
1. 현존하는 인본과 사본
2. 본서의 판각과 가치
3. 백가의체의 기원과 수용
제3장 시구별 작가의 분석
1. 활용 시구의 작가별 분석
2. 시대와 공간상 분포의 특성
3. 십초시와의 관계
제4장 사회와 문화에 관한 사료
1. 국경의 관방과 시설
2. 문예사조의 갈등과 생존
3. 고려 한문학의 전통과 국제성
제5장 판독과 주석
1. 목차와 서문
2. 권1 오언시 96수
3. 권2 칠언시 79수
4. 권3 칠언절구시 115수
5. 발문과 간기
결론
동아시아 고대문명의 종말과 중세문명의 중심 이동
고려의 새로운 시집이 20년 전에 발견된 다음 전반적인 연구서가 처음 간행되었다. 당송의 시구를 중심으로 1,962구가 실린 이 시집은 동아시아 시구 축적을 바탕으로 고려에서 완성되었다. 백가의집(百家衣集은 고려 명종 때 임유정이 남긴 시집(3권으로, 여러 작가의 시구(詩句를 하나의 시제에서 활용한 백가의체(百家衣體에 바탕을 두고 있다. 백가의체는 집구(集句에서 발전한 시의 형태를 말하는데 북송(北宋에서 발전하였지만 고려의 임유정이 저술한 백가의집은 고려가 보존하고 발전시킨 가장 방대하고 수준 높은 중세 동아시아의 중요한 문화유산이다.
저자 허흥식 교수는 여러 단계를 거쳐서 오랜 기간 동안 연구를 혼자 완성하였다. 각각 새로운 분야의 전혀 알려지지 않은 자료를 활용하여 10여 권의 창조적인 저술을 간행하였다. 이 책뿐 아니라 동년록과 묘지를 이용한 고려의 과거제도, 고승의 부도비와 고문서를 판독한 토대를 기반으로 완성한 여러 권의 고려불교사, 호적을 수집하여 교감하면서 분석한 고려사회사를 남겼다. 고려에 영향을 준 인도와 원대 강남 승의 자료를 모아서 재구성한 지공선현과 몽산덕이에 대한 연구는 한국사는 물론 동아시아와 남아시아까지 포괄한 저술이다.
일관된 연구 방법으로 새로운 자료의 정리와 소개, 그리고 문집에 실린 시대정신뿐 아니라, 동아시아사를 거시적인 안목으로 재검토하여 기존 학계의 관점을 바꾸는 사관을 정립하였다. 사막의 확장과 황토의 이동을 패자의 등장과 문화의 파괴라는 상관된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한국중세사를 세계사의 관점과 접목시키면서 동아시아의 역사를 새롭게 접근하였다. 패권과 문명의 중심축이 다원적으로 형성되거나 이동하는 이론과 고려에서 가장 수준 높은 백가의체 시집이 등장할 여건을 규명하였다.
저자는 역사와 문학을 넘나드는 통합적 이론을 제시하고, 인문학 전체에 거시적 담론을 던졌다. 새로운 한국중세의 문학과 국사의 자료를 등장시켰을 뿐 아니라, 이에 못지않은 동아시아의 문명이동의 이론을 세웠다. 동아시아의 인문학의 거시적인 체계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