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내면서
들어가는 말
Ⅰ. 상고시대의 문학 - 우리 문학의 태동
시가 문학
1. 고대 가요
2. 향가
3.한시
서사 문학
1. 설화
2. 수필
Ⅱ. 고려시대의 문학 - 한문학의 융성기
시가 문학
1. 고려 가요
2. 경기체가
3. 시조
4. 한시
서사 문학
1. 가전체
2. 한문 산문과 패관 문학
Ⅲ. 조선시대 전기의 문학 - 진정한 국문학의 시작
시가 문학
1. 악장
2. 언해
3. 경기체가
4. 가사
5. 시조
6. 한시
서사 문학
1. 소설
2. 패관 문학과 평론
Ⅳ. 조선시대 후기의 문학 - 서민 의식의 성장과 산문 문학의 시대
시가 문학
1. 가사
2. 시조
3. 민요
4. 한시
서사 문학
1. 소설
2. 수필·평론
3. 서사 무가
4. 판소리
5. 민속극
찾아보기
『청소년을 위한 한국고전문학사』의 핵심
1 우리 문학사는 단절되지 않았다
우리의 국문학사는 상고시대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상고시대’, ‘현대’라고 하는 구분조차 실은 연구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한 편의적 선택일 뿐이다. 그러나 우리의 국문학사가 단절되어 있다는 비극적인 주장을 하는 이들도 있다. 개화기를 기점으로 그 전과 후의 한국문학은 선명히 구분되며 그 이전의 문학은 근대정신이 결핍된 과거의 문학일 뿐이라는, 이른바 ‘전통단절론’이다. 그러나 실제로 고전문학 작품을 읽어 보면 그 전통이 현대문학에 어떤 식으로 흔적을 드러내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단순히 민족주의, 자문화 중심주의로부터 국문학의 연속성을 주장하는 것이 아닌, 한국고전문학 작품 속의 실재하는 증거를 찾아 입증한다.
2 한국 고전 문학사는 역사를 따른다
각 시대들이 이전 시대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았는지 또 그다음 시대에 어떤 영향을 주었는지 이해하기 바라는 마음에서, 한국고전문학사의 시대 구분과 그 배열에 있어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으며 본문에서는 그 관계를 밝혔다. 역사 속 왕조의 흥망성쇠, 민족과 국가의 분열과 통일, 세계의 정세, 굵직한 사건들과 목소리에 주목했다. 또한 고전문학 역사 속에서, 장르의 발생과 상호간 주고받는 영향에 있어서 일정한 원리를 고찰했다. 이로써 시간의 변화, 역사에 따른 고전문학 전체의 양상을 알 수 있다.
3 고전문학의 숲을 보여 주다
‘문학은 삶’이라는 전제 하에 다양한 관점을 수용하여 고전문학을 읽는 방법을 보여 준다. 현재 청소년들이 접하는 고전문학은 작품 이외의 외적인 요소들을 철저하게 배제한 채 작품 내의 상황이나 요소들만으로 작품을 감상해야 한다는 절대주의적 관점을 기초로 한다. 이로 인해 청소년들은 고전문학을 편협한 시각으로만 감상할 수밖에 없다. 이는 마치 숲 속에 들어가서 나무 몇 그루를 보고서 만족하는 것과 같다. 고전문학 역시 다른 문학 작품들과 마찬가지로 작가와 독자, 작품이 창작되었던 현실이 유기적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