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서상세보기

도서명 이웃 분쟁, 이렇게 해결하자
저자 박철규
출판사 밥북
출판일 2018-06-19
정가 15,000원
ISBN 9791158584467
수량
머리말

제1장 이웃분쟁해결센터가 뭐지?

1절 주민분쟁해결 제도가 왜 필요한가

2절 미국 이웃분쟁해결센터(Neighbourhood Justice Center
1. 이웃분쟁해결센터는 어떻게 출발했나? / 2. 세 이웃분쟁해결센터 프로그램은 어떻게 운영되었나? / 3. 세 이웃분쟁해결센터의 분쟁해결 절차와 사건 처리 방식을 알아보자 / 4. 세 이웃분쟁해결센터의 운영 결과를 알아보자 / 5. 운영 실무자의 시각에서 본 이웃분쟁해결센터에 대한 평가와 그 후의 이야기 ·52

제2장 외국의 주민분쟁해결 제도는 어디까지 발전했나?

1절 미국의 주민분쟁해결 제도
1. 소송 폭발과 ADR 운동의 전개 / 2. 미국 주민분쟁해결 제도는 어떻게 태동하고 발전했나? / 3.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에는 두 개의 뿌리가 있다 / 4.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의 발전과정 / 5.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의 특성은 무엇인가? / 6.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의 분쟁해결 종류에는 무엇이 있나? / 7.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의 운영 재원은 어떻게 조달했을까? / 8.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은 지역 경찰과의 업무협조 관계를 활용했다 / 9.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에 대한 평가로부터 미리 배우자 / 10.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의 발전과제를 통해 우리도 대비하자 / 11. 미국 주민분쟁해결 프로그램의 최근 현황은 어떠한가?

2절 영국의 주민분쟁해결 제도
1. 영국 주민분쟁해결 제도의 발전과정 / 2. 영국 주민분쟁해결 제도의 운영 현황은 어떠한가? / 3. 영국 주민분쟁해결에 관한 통계적 자료 / 4. 영국 주민분쟁해결 제도에 대한 비판도 참고하자

3절 싱가포르의 주민분쟁해결 제도
1. 싱가포르 주민분쟁해결 제도의 개요 / 2. 싱가포르 주민조정센터의 운영 실태는 어떠한가?

4절 말레이시아의 주민분쟁해결 제도

5절 네팔의 주민분쟁해결 제도
1. 네팔의 주민분쟁해결 관련 법규는 어떠한가? / 2. 네팔의 주민
<주민분쟁해결(Community Mediation 분야의 국내 첫 단행본>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의 생활과 관련된 분쟁을 소송 외의 방법으로 간편하게 해결하고자 하는 것이 주민분쟁해결(Community Mediation 제도이다. 이 책은 외국처럼 우리나라도 주민분쟁해결 제도를 도입하고 정착하도록 그 개념부터 외국 사례와 현황, 국내 상황과 방안 등을 정리하였다. 주민분쟁해결 제도는 미국에서 실험적으로 시작되어 현재도 미국 내에 많은 주민분쟁해결센터가 운영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영국, 오스트레일리아, 캐나다 등의 선진국을 비롯하여 아시아에서도 싱가포르, 말레이시아, 네팔 등에서 도입되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이웃분쟁해결 또는 주민분쟁해결이라는 단일 주제로서의 연구는 거의 없는 실정이었다. 하지만 이제는 이웃분쟁해결제도가 지역사회 분쟁해결의 새로운 추세가 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부응하여 우리나라에도 지역사회 분쟁해결을 위한 주민분쟁해결 제도를 도입하고 정착시키기 위한 지침서로서 이 책이 처음으로 발간되었다.

<수많은 분쟁 종류별로 분쟁해결기구를 모두 둘 것인가?>
우리나라의 지역사회에서 발생하는 갈등이나 분쟁은 공동주택의 층간 소음, 공사장의 소음·진동·먼지, 골목길 주차 문제, 공동주택 관리비 갈등, 집주인과 세입자 간의 분쟁, 학교 폭력, 혐오시설 입지에 대한 갈등 등으로 다양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서 그 수많은 분쟁의 종류에 대응해서 일일이 개별적인 분쟁해결기구를 둘 것인가? 분쟁의 종류에 맞추어 분쟁해결기구를 둔다는 것은 너무 큰 자원낭비라 할 수 있고, 분쟁해결의 효율성 측면에서도 문제가 있는 접근방식이다. 따라서 다양하고도 복잡한 그 수많은 지역사회 분쟁들을 해결하기 위해 비체계적으로 그때그때 임기응변식으로 개별적인 분쟁해결기구들을 양산해 낼 게 아니라, 지역사회 분쟁해결의 효율적이고도 종합적인 대안으로서 국가 차원의 전국에 걸친 주민분쟁해결센터의 도입을 추진하여야 한다.

<주민분쟁해결센터로 공공갈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