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편집자 서문
프롤로그: 글로벌 시대의 음악적 정체성을 찾아서
I. 서론
1. 1960년대 이후 동아시아 예술음악에서의 신(新민족주의와 반(反본질주의, 그리고 음악학의 역할 (크리스티안 우츠 저/이혜진 역?
2. 현대 음악 속 동양과 서양의 만남: 포스트 식민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존 코벳 저/이민희 편역
II. 한국의 현대 음악
3. 나운영과 윤이상의 번진음 음악: 무조음악의 수용과 대응 (홍정수 저
4. ‘이중 문화적 관현악 편성’에 나타난 ‘상호 문화성’: 한국의 동시대 음악 작품을 중심으로 (오희숙 저
5. 진은숙의 음악언어, 추상화를 통한 재맥락화: 생황협주곡 《슈》를 한 예로 (서정은 저
6. 전통 악기를 위한 아방가르드 음악: 황병기의 음악에 나타나는 확장된 기법들 (앤드류 킬릭 저/신상호 역
7, 함께하는 이 순간: 국악 그룹과 작곡의 과정 (힐러리 핀첨 성 저/이현지 역
III. 일본의 현대 음악
8. 서양 아방가르드 음악 속의 타케미츠 토루 (쵸키 세이지 저/배묘정, 최수련 역
9. 상상 속에 존재하는 동양의 노래: 사카모토 류이치와 미와 마사히로, 그리고 포스트모던 시대의 일본 음악
(오카다 아케오 저/김소이 역
10. 음악과 자연의 밀접한 관계: 호소카와의 음악에 나타난 문화적 정체성의 개념 (외른 피터 히켈 저/원유선 역
11. 케이지의 위치를 재정립하?로써 전후 일본의 아방가르드 음악을 다시 자리매김하다: 소게츠 아트센터와 자연 발생성의 미학 (후쿠나카 후유코 저/강나원 역
IV. 중국의 현대음악
12. 문화적 경계와 국가적 경계: 탄둔, 첸이, 브라이트 쉥의 최근 작품들 (낸시 Y. 라오 저/배묘정 역
13. 글로벌 시대의 음악적 판타스마고리아: 탄둔의 《지도》와 음악 재료의 환경정치 (양 첸-창 저/이지연 역
14. 정격성의 가능성: 붓다 머신에서 울리는 사회주의 중국 (샘슨 영 저/하지혜 역
15. 부재중인 영웅: 장원예의 끝나지 않은 음악여정과 모더니티라는 미완성 프로젝트 (양
출판사 서평
‘우리 시대’ 음악에 대한 안내서
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 음악적 정체성을 논하다
바야흐로 글로벌 시대다. 국가 간의 경계가 완화되고 정치, 경제, 문화 전반을 교류하며 세계사회가 하나의 독자적?인 차원을 획득하고 있는 지금, 그렇다면 민족적 정체성이나 문화적 정체성은 사라진 것인가? 그렇다면 음악은 어떠한가? 서양음악의 대립항으로 여겨지던 동양음악이 이제는 서로 융합되어 그 경계가 모호해졌는가? 음악이 역사와 사회를 반영한다는 보편적 상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가?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2012년...
‘우리 시대’ 음악에 대한 안내서
글로벌 시대의 동아시아 음악적 정체성을 논하다
바야흐로 글로벌 시대다. 국가 간의 경계가 완화되고 정치, 경제, 문화 전반을 교류하며 세계사회가 하나의 독자적인 차원을 획득하고 있는 지금, 그렇다면 민족적 정체성이나 문화적 정체성은 사라진 것인가? 그렇다면 음악은 어떠한가? 서양음악의 대립항으로 여겨지던 동양음악이 이제는 서로 융합되어 그 경계가 모호해졌는가? 음악이 역사와 사회를 반영한다는 보편적 상식은 더 이상 통하지 않는가?
이 책은 이러한 물음에 대한 고민의 결과물이다. 2012년 로마에서 열린 국제음악학회(IMS에서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학자들이 ‘동아시아 현대음악’에 대한 공동 프로젝트 발표를 진행한 이후 이 주제를 보완하여 내놓은 이 책은 서양의 영향을 받았으나 그것을 자국의 전통 음악과 혼합하여 재생산하고 재맥락화 하는 ‘한국·중국(대만 포함·일본의 현대음악’의 상호문화성과, 각 나라의 음악적·문화적·민족적 특수성, 그리고 그 방향성 등을 논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