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현증장엄론(現證莊嚴論
현증장엄론 역주(現證莊嚴論 譯註
1장 일체종지(一切種智
〔귀경게〕
〔논서 저술의 의의〕
〔팔사칠십의〕
1 대승발심
2 대승교계
〔진속 2제〕
(1 비바사파가 보는 2제
(2 경부파가 보는 2제
(3 대승의 학파들이 보는 2제
〔긍정존재와 부정존재〕
〔공성〕
(1 유식파가 보는 공성
(2 중관파가 보는 공성
〔사성제〕
〔삼보〕
〔무탐착, 지침 없음, 도의 호지〕
〔오안〕
〔육신통〕
〔대승의 견도와 수도〕
〔이십승보〕
(1 예류향
(2 예류과
(3 일래향
(4 일래과
(5 불환향
(6 불환과
(7 아라한향
(8 아라한과
(9 인유독각
3 대승가행도
4 자성주종성(自性住種姓
5 대승행의 소연
(1 선악과 무기
(2 세간도와 출세간도
(3 유루와 무루
(4 유위와 무위
(5 공통적인 성취와 불공불법
6 대승행의 구경목표
7 피갑행(被甲行
8 취입행(趣入行
(1 지관(止觀
(2 사선정과 사무색정
(3 사무량심
9 자량행(資糧行
10 정출행(定出行
2장 도지(道智
1 도지지분
〔구경삼승과 구경일승〕
2 성문도를 아는 도지
3 독각도를 아는 도지
4 대승견도
5 대승수도의 작용
6 신해수도
7 신해수도의 공덕
8 회향수도
9 수희수도
10 성취수도
11 청정수도
3장 기지(基智
4장 원만가행(圓滿加行
1 삼종지의 행상
〔성문도와 공통되는 일체종지의 37행상〕
(1 사념주(四念住
(2 사정단(四正斷
(3 사신족(四神足
(4 오청정근(五淸淨根
(5 오청정력(五淸淨力
(6 칠각지(七覺支
(7 팔성도지(八聖道支
〔보살도와 공통되는 일체종지의 34행상〕
(1 대치도(對治道
(2 화현도(化現道
(3 현법낙주도(現法樂住道
(4 출세간도(出世間道
(5 능단도(能斷道
(6 성불도
〔부처의 불공의 일체종지의 39행상〕
(1
출판사 서평
티베트불교의 반야학(般若學 입문서
『현증장엄론 역주(現證莊嚴論 譯註』 한국에 첫 소개
티베트 승려들은 승원(僧院에서 필수 교학 과정으로 아비달마학, 반야학, 중관학, 불교논리학 등을 체계적으로 배우게 된다. 『현증장엄론』은 이 중 반야학 과정의 ‘입문서’에 해당한다.
5세기 경 인도에서 미륵(彌勒, Maitreya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현증장엄론』은 반야사상의 핵심을 정리한 논서로, 8세기경 티베트에 전해져 반야사상의 이해와 대승불교 융성에 크게 이바지했다. 지금도 티베트불교에서 『현증장엄론』은 『대승장엄...
티베트불교의 반야학(般若學 입문서
『현증장엄론 역주(現證莊嚴論 譯註』 한국에 첫 소개
티베트 승려들은 승원(僧院에서 필수 교학 과정으로 아비달마학, 반야학, 중관학, 불교논리학 등을 체계적으로 배우게 된다. 『현증장엄론』은 이 중 반야학 과정의 ‘입문서’에 해당한다.
5세기 경 인도에서 미륵(彌勒, Maitreya에 의해 저술된 것으로 추정되는 『현증장엄론』은 반야사상의 핵심을 정리한 논서로, 8세기경 티베트에 전해져 반야사상의 이해와 대승불교 융성에 크게 이바지했다. 지금도 티베트불교에서 『현증장엄론』은 『대승장엄경론(大乘莊嚴經論』, 『중변분별론(中邊分別論』, 『법법성분별론(法法性分別論』, 『구경일승보성론(究竟一乘寶性論』과 함께 미륵5부서(部書로 불리며 추앙받고 있다. 또한 산스크리트어 원전과 티베트어 번역의 종류만 20여 종에 이를 정도로 방대한 문헌을 이루고 있으며 티베트불교의 성격을 결정 지은 중요한 논서이기도 하다. 이처럼 『현증장엄론』이 티베트불교에 끼친 역사적 배경만 보더라도 불교사에서 매우 가치 있고 귀중한 자료임에는 의문의 여지가 없다.
이에 반해 중국에서는 번역도 없고, 거의 그 존재도 알려지지 않았다. 이 점에 대해서 학자들은 반야계 경전의 또 다른 주석서인 『대지도론(大智度論』이 이미 번역되었기 때문으로 추정하고 있다. 용수(龍樹, N?g?rjuna 150~250년경의 저서로 알려진 『대지도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