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ㆍ 서문
ㆍ 편집부 서문
十二. 스물다섯 성인(聖人의 원통법문
1. 아난이 원통법문을 청하다 _ 025
2. 삼매에 들어가는 방편법문 _ 066
十三. 관세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
1. 이근원통(耳根?圓通 _ 103
2. 삼십이응신(三十二應身 _ 109
3. 열네 가지의 두려움 없음[十四無畏] _ 123
4. 네 가지의 부사의[四不思議] _ 138
十四. 문수보살의 원통의 선택
1. 가장 성취하기 쉬운 방편은 어떤 법인가? _ 149
2. 돌이켜 자성을 듣는 공부를 권하다 _ 192
十五. 네 가지의 청정한 밝은 가르침
1. 근본의 세 가지 무루학(無漏學 _ 203
2. 마(魔를 멀리 떠나다 _ 242
十六. 능엄신주(楞嚴神呪
1. 능엄도량을 세우는 법 _ 247
2. 능엄신주를 설하다 _ 261
3. 능엄신주의 공덕 _ 298
十七. 열두 종류의 중생[十二類衆生]
1. 중생이 전도된 원인 _ 337
2. 세계가 전도된 원인 _ 348
3. 12류 중생의 모습 _ 352
十八. 수행의 단계
1. 세 단계의 점진적인 수행 _ 371
2. 보살수행의 단계 _ 384
十九. 경의 이름을 밝히다
1. 문수보살이 경의 이름을 묻다 _ 433
2. 이 경의 다섯 가지 이름 _ 433
二十. 일곱 종류의 중생계[七趣]
1. 일곱 종류의 중생계가 생기는 원인 _ 439
2. 일곱 중생계의 인과의 차별 _ 458
3. 삼업[殺盜?]을 끊어야 중생계를 떠난다 _ 559
二十一. 오십 가지의 음마(陰魔
1. 마의 경계가 오면 알아차려라 _ 565
2. 색음(色陰의 마 _ 586
3. 수음(受陰의 마 _ 608
4. 상음(想陰의 마 _ 634
5. 행음(行陰의 마 _ 708
6. 식음(識陰의 마 _ 751
7. 마의 경계에 빠지지 않는 법 _ 773
二十二. 오음(五陰의 생멸상
1. 오
출판사 서평
선교겸수(禪敎兼修, 현밀겸학(顯密兼學의 경전 『능엄경』
『능엄경』의 갖춘 이름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인데, 간략하게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이라고 부른다. 당나라 제4대 황제 중종 때인 705년 경 중인도의 반라밀제 대사가 들여와서 한역하였다. 비밀스런 주를 담고 있는 등 밀교적 사상이 가미되기는 했지만 선정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기 때문에 밀교 쪽보다는 선가(禪家에서 많은 환영을 받았다.
불교의 대(大, 소(小, 현(顯, ...
선교겸수(禪敎兼修, 현밀겸학(顯密兼學의 경전 『능엄경』
『능엄경』의 갖춘 이름은 『대불정여래밀인수증요의제보살만행수능엄경(大佛頂如來密因修證了義諸菩薩萬行首楞嚴經』인데, 간략하게 줄여서 『대불정수능엄경』, 『수능엄경』 또는 『능엄경』이라고 부른다. 당나라 제4대 황제 중종 때인 705년 경 중인도의 반라밀제 대사가 들여와서 한역하였다. 비밀스런 주를 담고 있는 등 밀교적 사상이 가미되기는 했지만 선정의 중요성을 역설하고 있기 때문에 밀교 쪽보다는 선가(禪家에서 많은 환영을 받았다.
불교의 대(大, 소(小, 현(顯, 밀(密을 두루 갖추어서 ‘팔만대장경의 축소판’으로 불리기도 하는 『능엄경』은 선불교의 소의 경전 가운데 하나이자 한국불교의 근본경전 가운데 하나이기도 하다. 그런 중요성으로 인해서 한글 창제 후 첫 번째로 번역된 불교 경전이기도 하다. 간화선을 수행의 종풍으로 삼고 있는 우리나라에서도 강원에서 『능엄경』을 수학하고 있으며, 출재가를 막론하고 수행자들이 『능엄경』을 공부하고 있다.
위앙종 제9대 조사 선화 상인의 활발발한 해설
임제종, 조동종, 위앙종, 법안종, 운문종 등 선가 5종의 법맥을 이은 허운 선사(虛雲 禪師, 1840~1959의 법맥을 이은, 중국 위앙종의 제9대 조사 선화 상인은 근?현대 중국불교의 뛰어난 스승 가운데 한 분이다. 불성(佛性의 자각을 통한 명심견성(明心見性을 강조한 백장회해의 가르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