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행, 바퀴, 레일 그리고 동물의 구속
자유로운 케찰을 보다. 두 번이나!
사랑에 빠진 먼지
나비의 비행, 현자의 꿈
제주, 하하
새들의 노래
침묵과 탈창조
몇 사람의 얼싸안기
희생 혹은 상호 의존?
지금의 이주자… 그리고 예전의 이주자
옮긴이의 말
현대와 시원始原 사이를 오가는 순례 여행길에 펼쳐지는
몽환적이고도 우아한 시적·철학적 대/화
콜롬비아 작가 미겔 로차 바바스의 『아르카와 이라―비인간화 시대의 대/화』는 여행문학이나 철학 에세이의 일반적인 형식에서 벗어난, 그야말로 독특한 장르의 책이라 할 수 있다. 책은 전 지구적 행보라 할 만한 저자의 다양한 여행이 바탕을 이루지만, 일반적인 여행 보고서와는 궤를 달리한다. 이미 첫 장에서 소비자이면서 소비의 대상이 되는, 쉽게 상품 취급을 당하면서 만나는 사람이나 대상을 상품 취급하는 여행객(관광객과 거리를 두려는 데서 알 수 있듯이, 책 속의 여행은 그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모든 존재하는 것들의 의미와 가치를 묻는 순례의 여정으로 배치된다. 때문에 라틴아메리카에서 시작된 발걸음은 순차적이거나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순식간에 아시아나 다른 공간과 연결되고, 시간 또한 연대기적이 아니라 고대와 현대 사이를 자유롭게 넘나들거나 교차된다.
제목에서 암시되어 있듯이, 이 책은 첫 장에서 마지막 장까지 모두 ‘아르카’와 ‘이라’라는 두 사람의 대화로 이루어져 있다. 이들은 친구 사이의 남미인들이면서 동시에 아르카와 이라는 ‘시쿠’ 혹은 ‘삼포냐’라고 부르는 안데스 취주악기를 의인화시킨 인물들이기도 하다. 그렇다면 이들은 대화는 실제에 바탕하면서 하나의 작품 속에서 재배치된 것이라고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은 따로, 또 함께 여행한 것들을 토대로 대화하며, 가끔은 두에르메아우토피스타스라는 긴 이름의 야윈 개와 더불어 걷기도 한다. 아르카와 이라는 일종의 대/화의 메타포이다. 이들의 대화는 공명하는 악기의 연주를 닮았고, ‘새들의 노래’(6장를 닮았고, 두 날개로 꿈처럼 나는 ‘나비의 비행’(4장을 닮았다. ‘현자의 꿈’(4장들을 오늘날 다시 해석해 내고자 하는 두 사람의 대/화는 주로 콜롬비아와 아르헨티나를 배경으로 하지만 제주도(5장를 비롯한 아시아와 다양한 지역으로도 이어지면서, 장자와 타고르, 이주와 관광, 사랑과 연민, 죽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