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4
서론 ? 지역사 연구 방법과 과제 13
일러두기 14
제1장 1862년 농민항쟁과 사회변동 31
1. 19세기 중엽의 사회경제 상태와 신분질서의 약화 32
1.1 19세기 중엽의 사회경제적 변동과 삼정문란 32
1.2 사족층士族層 분화와 신분질서의 약화 42
2. 1862년 농민항쟁의 발생과 전개 49
2.1 대?소민인大?小民人 주도의 1차 봉기 49
2.2 소?빈농층 주도의 2차 봉기 59
3. 농민항쟁 이후의 사회변동 70
제2장 개항 이후의 사회적 갈등과 동학농민전쟁 85
1. 1870년대 삼정개혁의 추이와 1883년 농민항쟁 86
1.1 고종집권 초기의 반동과 1883년의 농민항쟁 86
1.2 농민항쟁 이후 향약 시행과 요호부농층의 동향 97
2. 동학의 전파와 1894년 동학농민전쟁 105
2.1 동학의 전파와 동학군의 개혁운동 105
2.2 지방관아세력의 반격과 동학농민군의 성주읍성 점령 112
제3장 한말 유교지식인층의 현실 인식과 국권회복운동 119
1. 한계 이승희의 내수자강 개혁론과 국권회복운동 120
1.1 내수자강론의 형성과 〈의진시사소擬進時事疏〉의
국권회복론 120
1.2 국채보상운동과 구국외교활동 145
2. 대한협회 성주지회 참가층의 현실 인식과 구국계몽운동 152
2.1 대한협회 성주지회 참가층의 현실 인식 152
2.2 대한협회 지회 설립과 친일합방파 규탄운동 165
2.3 성명학교 설립 170
제4장 일제강점기 사회변동과 민족운동 175
1. 일제 병탄 이후의 사회변동과 유림의 동향 ? 176
1.1 민족운동 탄압과 식민지 지배체제의 구축 176
1.2 1910년대 이승희의 민족운동과 성주유림의 동향 178
2. 유림단 독립청원운동과 3?1운동 191
2.1 유림단 독립청원운동과 유림의 참여 191
2.2 3?1만세운동과 주도층 202
3. 1920?30년대의 민족운동 213
3.1 유림층의 제2
농민항쟁의 단계적 추이를 포착하다
1862년의 농민항쟁은 민족운동을 ‘자주적으로 근대를 형성해 나가는 과정’으로 이해하는 저자의 연구 방법론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출발점이다. 상업적 농업 발전에 따른 부세負稅 편중 심화, 그 악순환이 계속되는 ‘삼정문란’이 마침내 농민들의 투쟁을 불러왔다. 저자는 제2차 농민항쟁은 제1차 때와 달리 소빈농층의 사회개혁 요구가 전면화했고, 1883년의 농민항쟁에서는 조직 내부의 체계적 통일성도 강화되고 정치권력의 문제를 제기했음에 주목한다. 특히 1,2차 항쟁에서 향회를 이끌었던 두민頭民을 추정하는 대목에서는 사회경제사에 정통하며 관련 자료를 발로 뛰며 조사해 온 학자의 예리한 추론을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빈농층 주도의 반봉건투쟁은 동학농민전쟁에서 조직과 투쟁 목표 면에서 최고 단계에 달했다고 본다. 이 시기 농업변동은 ‘농민적 상품생산이 반봉건투쟁의 발전과 궤를 같이하면서 성장 확대되는 근대농업으로의 이행과정’(이윤갑, 《한국 근대 상업적 농업의 발달과 농업변동》, 2011,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이라는 저자의 시각이 운동의 측면에서 심화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농민운동은 좌절되면서 한말 농업모순의 온상이었던 식민지 지주제가 육성되어 나갔다(이윤갑, 《일제강점기 조선총독부의 소작정책 연구》, 2013, 대한민국학술원 우수도서.
근대를 열어간 민족운동의 주역들
저자는 한말에서 일제 강점기까지 성주의 민족운동을 크게 두 흐름으로 집약한다. 하나는 이진상, 이승희, 김창숙 등 ‘거경궁리居敬窮理’와 ‘지행병진智行竝進’을 체현하며 척사위정운동에서 국권회복운동을 거쳐 유림단 독립청원운동과 임시정부 참여, 해외 독립운동기지 건설운동을 이끈 유림층의 활동이다. 또 하나는 성주 도씨와 성산 배씨 등 향리가문 출신이 중심이 된 신흥 요호부농층의 동향이다. 그 대표적 인물 도갑모는 사회경제적 모순의 해결책으로 성취형 신분제를 제시하였다. 이들은 국채보상운동과 애국계몽운동에 이어 실력양성 청년 운동(성주청년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