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reface and Acknowledgements 2
What is it about the Koreans? 5
Introduction 12
CHAPTER ONE
Who Are Koreans? 15
National Identity 16
Culture, Social Behavior, Value and Institutions 16
Self-Centered Microcosm 16
Identical Beings 18
Ecological Influence 20
Topographical and Geographical Factors 20
Communitarian Spirit 22
Nature Worship 24
Urbanization 25
Emotion Outweighs Reason 26
Religious Pluralism 27
Primitive Religions 27
Buddhism 29
Confucianism 31
Roman Catholics and Protestantism 33
Geo-political Characterization 34
The Paradox of Globalization 39
CHAPTER TWO
The Historical Identity of Koreans 45
The Myth of Ethnic Homogeneity 46
The History of an Ethnic Nation 47
Nationalism and Ideology 49
Dynastic Continuity 53
Two Koreas 57
Ideological Confrontation 57
Division of the Country 59
The Birth of Two Regimes 62
The Korean War 63
Forbidding Gaps 67
Outlook for Unification 71
Can Time Heal? 75
Modernization 76
H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 선행 연구는 역사 또는 정치, 경제와 관련하여 정체성을 부분적으로 다루는 예가 많았다. 역사에 치중할 경우 한국인의 정체성이 과거의 한 시점에 고착되는 경향이 있다. 정치 경제는 가치 의식과 결연되어 현재를 기점으로 하는 현상의 기술에 불과하다. 한국의 정체성을 다룬 저서 중 Gregory Henderson의 [The Vortex of Politics]는 서양인의 민주주의 경험에 비추어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서양의 시각에서 보는 전형적 패턴이라 할 것이다. Michael Gre...
선행 연구에 대한 분석: 선행 연구는 역사 또는 정치, 경제와 관련하여 정체성을 부분적으로 다루는 예가 많았다. 역사에 치중할 경우 한국인의 정체성이 과거의 한 시점에 고착되는 경향이 있다. 정치 경제는 가치 의식과 결연되어 현재를 기점으로 하는 현상의 기술에 불과하다. 한국의 정체성을 다룬 저서 중 Gregory Henderson의 [The Vortex of Politics]는 서양인의 민주주의 경험에 비추어 한국의 민주주의 발전을 부정적으로 전망하고 있는데, 서양의 시각에서 보는 전형적 패턴이라 할 것이다. Michael Green이 쓴 [한국인의 정체성]은 그가 영국 특파원으로서 한국에 체류하며 느낀 바에 대한 즉흥적 반응을 피력한 것으로, 일천한 한국 경험에서 오는 편견이 반영되어 있다. 김재은 교수의 [한국인의 심리와 행동 성향 (1991]은 한국인의 의식 구조를 처음으로 다루었으나, 현재의 정체성에 고착되어 가치관의 변화를 간과하였다. 최봉영의 [한국인의 의식 구조 (1994]는 유교 사상에 기반한 한국인의 전통 의식 구조를 다루었으니, 과거에 머물러 있다고 하겠다. 즉 행동의 기점이 되는 의식 주조와 가치관의 변화를 보지 못 했다.
저자의 연구에 결정적 동기를 부여한 연구로 다음을 들 수 있다. 마사오 미아모오의 [획일적 사회(일본인의 의식 구조], Jeromy Paxman의 은 자국민의 의식 구조와 행동 성향